박완주 의원, 동반성장 내세운 대기업 납품가 '놀부 심보'
박완주 의원, 동반성장 내세운 대기업 납품가 '놀부 심보'
  • 김거수 기자
  • 승인 2013.09.24 14: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72개 협력사 4곳 중 1곳 불공정 거래… 전면 조사 촉구
동반성장 대상 대기업에 납품하는 중소기업 4곳 가운데 1곳은 납품가 후려치기 등 불공정 거래를 당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 민주당 박완주(천안을) 국회의원


민주당 박완주(천안을) 국회의원이 중소기업청에 요구한 ‘2013 부당 납품단가인하행위 현장조사’에 따르면 국내 동반성장 대상 72개 대기업에 납품하는 1차 협력사 902개사 가운데 23.9%(216개사)가 최근 1년 이내 불공정 거래를 당했다.

업종별로는 통신과 정보가 44.4%와 30.6%로 높았으며 화학・금속, 건설, 유통, 기계, 전기・전자업 등이 22.0∼25.9%를 보였다. 자동차는 19.6%로 비교적 낮았다.

대기업의 불공정 행위는 ‘정당한 사유 없이 일정비율로 정기 납품단가 인하’가 58.3%로 가장 높았다. 이어 ‘입찰을 하고도 낙찰가보다 낮은 하도급대금’이 26.4%, ‘경제상황 변동 등 협조요청 명목으로 납품가 감액’이 20.8% 순이었다.

자동차 업종에서는 ‘정당한 사유 없이 일률적 비율로 정기적인 납품단가 인하’ 경험비율이 90.9%에 달했으며, 건설업종은 경쟁 입찰을 했는데도 낙찰가 보다 낮은 금액으로 하도급 대금을 결정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납품단가 후려치기는 납품가의 5% 이하 78.7%, 10% 이하가 21.3%였는데, 최근 1년간 2회 이상 인하를 요구받은 중소기업이 24.5%였다. 이 같은 후려치기는 전기・전자와 유통, 통신업계에서 더욱 심각했던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대기업의 부당거래 관행을 전년과 비교했을 때 ‘개선됐다’는 응답은 6.1%에 불과한 반면 ‘악화됐다’는 32.0%, 보통 25.0%, 무응답 37.0%로 이른바 ‘갑’의 횡포가 더욱 심화되었음을 드러냈다.

제조원가 대비 납품단가에서도 대기업 횡포는 심각했다. 중소기업의 제조원가는 2011년을 100으로 2012년 108.7%, 2013년 112.1%로 상승한 반면, 납품단가는 2012년 96.8%와 2013년 94.4%로 매년 하락한 것이 이를 반증했다.

중소기업들은 우선적으로 고쳐야할 대기업의 불공정거래로 ‘정당한 사유없는 납품단가 후려치기(63.0%)와 ’협조요청 명목의 단가 후려치기(27.8%)를 지적했다.

박 의원은 “중소기업이 당하는 부당거래 관행은 해가 갈수록 줄기는커녕 더욱 심해지고 있다는데 더욱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며 “동반성장 대상 대기업 조사에서도 이정도이니 전면 조사를 실시해 근본적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