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밭대 노동원·고동혁 학생, ‘EMNLP 2025’서 이중언어 학술 추론 벤치마크 발표
한밭대 노동원·고동혁 학생, ‘EMNLP 2025’서 이중언어 학술 추론 벤치마크 발표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5.11.06 15: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립한밭대학교 컴퓨터공학과 박천음 교수 연구팀 포스터 발표
국립한밭대학교 컴퓨터공학과 박천음 교수 연구팀 포스터 발표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국립한밭대학교는 컴퓨터공학과 노동원 석사과정과 고동혁 학부생이 거대언어모델(LLM)의 ‘학문적 사고력’을 평가하기 위한 새로운 국제 벤치마크인 ScholarBench를 개발하고 이를 자연어처리 분야 최고 학회 중 하나인 ‘EMNLP 2025’에서 포스터로 발표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한국어와 영어 두 언어로 구성된 학술 추론 데이터셋을 제안하며, 거대언어모델이 단순한 질의응답을 넘어 실제 학문 텍스트를 이해하고 추론할 수 있는지를 측정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박천음 교수 연구팀은 기존의 일반적인 언어모델 벤치마크들이 주로 문장 완성, 단순 질의응답, 또는 상식적 추론에 초점을 두고 있어 ‘학문적 사고의 계층적 구조’를 반영하지 못한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ScholarBench는 추상화(Abstraction), 이해(Comprehension), 추론(Reasoning)의 세 가지 인지적 단계에 따라 문항을 구성하고 자연과학·응용과학·사회과학·인문학 등 8개 분야를 포함해 실제 논문 수준의 복잡한 개념 관계와 논증 구조를 반영했다.

특히 영어와 한국어 두 언어 버전을 동일한 주제와 구조로 제작함으로써, 모델의 언어 간 사고력 균형과 학술적 추론의 일관성을 동시에 평가할 수 있도록 설계된 점이 큰 특징이다.

연구팀은 최신 언어모델들을 ScholarBench로 평가한 결과 GPT-4o와 Claude-3 같은 상용 모델조차 학문적 추론 단계에서 0.54 수준의 평균 점수에 머무른다고 밝혔다.

이는 거대언어모델이 표면적 이해에는 강하지만 논증 구조나 개념 간 관계 추론에서 한계가 있음을 보여주며, 따라서 본 벤치마크는 단순 성능 경쟁이 아니라 모델의 ‘사고 과정’ 자체를 들여다보는 평가 틀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박천음 교수 연구팀은 “ScholarBench는 단순한 벤치마크를 넘어, 한국어 학술 데이터를 이해하고 생성할 수 있는 AI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 있으며, 한국 연구자들이 국제적 수준의 AI 평가 생태계에 적극 참여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밭대 컴퓨터공학과 노동원 석사과정, 고동혁 학부생, KAIST 문화기술대학원 육정훈 석사과정과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 산타바바라(UCSB) 김규완 박사과정이 공동 제1저자로, 박천음 교수가 교신저자로 참여했으며 중국 쑤저우에서 열린 ‘EMNLP 2025’ 학회 포스터 세션에서 ScholarBench의 구조, 설계 원리,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 이번 연구는 LLM 시대에 “AI가 인간처럼 학문을 읽고 사고할 수 있는가”라는 근본적 질문에 대한 실증적 접근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며, 한국어가 포함된 이중언어 벤치마크를 통해 비영어권 언어의 학술적 표현과 사고 구조를 평가할 수 있는 첫 시도로 평가된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