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사업자 참여를 위한 복합역사 마스터플랜 마무리 단계
대한민국 철도 메카가 될 명품대전역사 건설 사업이 본격 궤도에 오를 전망이다. 이는 지난해 11월 이장우 국회의원의 주선으로 국토부, 코레일, 철도시설공단, 대전시 등 5자 합의에 따라 코레일에서 작성키로 했던 마스터플랜이 가시화됨에 따라, 세계적인 명품역사의 토대가 마련되었다.

이에 따라 7월부터 우선적으로 대전역사의 증축에 돌입한다. 총 35억 원이 투입되는 선상주차장과 복합역사 기초공사는 민간사업자가 참여하는 복합역사 건설을 위해 설계변경을 통해 파일을 보강하는 작업부터 진행될 예정이다. 또한 총 366억 원이 소요되는 증축역사와 선상주차장, 동서보행통로 등 본 공사는 오는 11월경 착공할 계획이다.

대전시는 11월 까지 진행될 용역을 바탕으로 역세권 재정비촉진 계획에 반영하게 되면 역세권 정비도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용역결과를 이장우 국회의원에게 보고한 철도공사측은 사업성개선을 위한 대전시 도시계획 완화에 대한 일부협의는 11월까지 계속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새누리당 이장우 의원(대전 동구)은 “역세권 재정비 촉진계획이 변경되면 사업성이 크게 개선돼 민간사업자의 참여를 촉진시킬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대전역사에 민간이 참여하게 되면 경쟁력이 있는 다양한 시설을 유치가 가능케 되어 역세권 개발에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명품복합역사 건설이 완성되면 대전 동구는 역세권 개발이 더욱 가속화되고, 이를 통해 도시의 균형발전은 물론 대한민국 철도산업의 중심지로 떠오를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한국철도시설공단과 철도공사는 최근 교통영향평가에서 제시된 총 497대의 차량이 명품역사에 주차할 수 있는 주차장 건설계획을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충청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