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새정치민주연합 박완주 의원(천안을)이 한국전력으로부터 제출받은‘2009~2014년 단전현황’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매년 16만호의 가정과 상가, 공장에서 전기료 체납으로 단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올 들어서도 7월말 현재 전국에서 주택용 5만9000호, 일반 3만4000호, 산업용 2000호, 기타 1만9000호 등 11만5000호에 달했다.
특히 가정에 공급되는 주택용은 2009년 7만400호에서 2010년 7만4300호, 2011년 8만2900호로 늘었다가 2012년 7만9900호로 약간 줄었지만 지난해 8만3300호, 올 들어 7월말 현재 5만9000호 등 폭증세를 보이고 있다.
단전은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보다 비수도권이 월등이 높아 지방경기가 더 어려웠음을 대변했다.
지역별 주택용 단전은 지난 7월말 현재 수도권이 2만5600호이지만, 비수도권은 3만3600호로 31%나 많았다. 대구경북과 부산은 각각 8500호와 7900호로 인구가 상대적은 많은 서울(7600호)보다도 불을 켜지 못하는 가정이 월등히 많았다. 경기(1만1200호), 인천(6800호), 대전충남(5000호), 광주전남(3000호), 경남(2800호), 전북(2600호), 충북(1700호), 강원(1600호), 제주(500호) 등에서도 주택용의 전기가 끊어졌다.
박 의원은 “무더운 여름인데도 전기가 끊어진 빈곤층은 선풍기조차 사용하기 어려운 우리사회 아픈 속살을 보여주는 것으로 에너지복지가 시급하다”며 “인구가 많은 수도권보다 지방에서 단전 가정이 많다는 것은 균형발전아 이뤄지지 않는 증거”라고 지적했다.
한편, 전기요금은 지난해 전국에서 59만건 879억원이 체납됐는데 2009년 45만건(467억원), 2010년 50만건(602억원), 2011년 57만건(566억원), 2012년 63만건(674억원) 등 5년째 늘어났다.
5년간 16만호 단전…수도권 보다 비수도권이 31% 많아
저작권자 © 충청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