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채에 허덕이면서 이주비용만 방만경영 여전…초호화논란
한국수력원자력 등 6개 발전공기업의 지방이전이 본격화되면서 직원들에게 무료로 제공될 사택비용이 5000억원을 넘기면서 호화판 논란을 빚고 있다. 원룸형 독신자 숙소를 짓는데 세대마다 2억원 이상을 사용하거나 이주수당과 이사비용에 발전사마다 수십억씩 사용되는 등 ‘돈 잔치’를 벌인다는 비난마저 일고 있다.

13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새정치민주연합 박완주 의원(사진.천안을)이 한전 산하 6개 발전공기업으로부터 제출받은 ‘본사지방이전에 따른 사택구입현황‘에 따르면 직원복지를 빙자한 사택구입 및 임대에 5136억원이 사용되거나 사용 중이다.
내년 경주로 이전하는 한국수력원자력은 사택으로 전용면적 85㎡(분양면적 33평형)의 민간분양 300세대와 자체 신축 700세대 등 모두 1000세대에 3223억원을 사용키로 했다. 한수원 직원 사택마련에 직원 1인당 3억2200만원이 사용되는 셈이다.
발전사들이 지방으로 이전하면서 직원에게 사용하는 수당도 문제였다. 직원 1인당 월 20만원씩 2년간 이주수당이 지급되고 이사를 할 경우 5t이하 이사비용은 전액, 초과 2.5t에 대해 50%를 지원해준다. 이 같은 비용으로 발전사마다 30억원씩을 넘게 사용할 예정이다.
박완주 의원은 “사택이란 오지에 숙소가 없던 시절 배려차원이지만 지금은 교통의 발달로 주변과 충분한데 왜 발전사들이 사택을 고집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며“발전 공기의 모럴해저드가 심각한 수준을 드러내는 단편적 예”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충청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