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수현 의원, 철도안전 위협하는 노후설비 교체해야
박수현 의원, 철도안전 위협하는 노후설비 교체해야
  • 최주민 기자
  • 승인 2014.10.21 09: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레일 마모기준치 도달 70% 이상 218km, 충북선 노후율 6.9%로 가장 높아

연간 1억3천만 명, 하루 평균 36만 명의 승객을 실어 나르고 있는 한국철도공사의 레일과 철도시설장비들이 노후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어 안전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 박수현 국회의원

21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박수현 의원(새정치민주연합, 충남 공주시)이 한국철도공사로부터 제출받은 ‘노후 시설 현황’에 따르면 철도 레일 7,698km 중 레일마모기준치의 70%를 넘은 선로가 218km에 달했다.

노선별로는 충북선이 288km 중 19.9km가 노후 되어 노후율이 6.9%로 가장 높았고, 이어서 중앙선 6.2%, 경부선 3.3%, 태백선 2.9%, 영동선 2.7%, 동해선 2.5% 등의 순이었다. 반면 장항선은 289km 중 1.3km만 노후 되어 노후율이 0.5% 밖에 되지 않아 노선별로 편차가 컸다.

‘선로유지관리지침’ 제22조에 따르면 레일의 마모기준은 50kg 12mm, 60kg 13mm이다.


한편 ‘내용연수 경과 시설현황’에 따르면 신호제어 장비 중 전원장치 44.7%, 신호기 43.1%, 선로전환기 40%, 연동장치 37.8%, 궤도회로장치 36.6%, 건널목제어유니트 31.6%가 노후 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철전력 장비 중에선 주변압기 33.0%, 원격소장치 31.9%, 전철주 20.8%, 전차선 17.6%의 노후율을 나타냈고, 정보통신 장비 중에서는 영상감시설비 32.0%, 전송장치 20.0%, 자동화재탐지설비 14.7%가 노후 되었다.

더 큰 문제는 이들 장비의 노후율이 해가 갈수록 급격히 높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선로전환장치의 2013년 노후율은 23.7%였으나 2014년 40.0%로 늘어났고, 전원장치도 2013년 21.5%에서 2014년 44.7%로 크게 늘었다.

이처럼 철도 시설장비의 노후로 인해 장애가 끊이지 않고 있는데 선로전환기 의 경우 2010년부터 2014년 7월까지 총 34건의 장애가 발생해 철도안전이 크게 위협받고 있다.

코레일은 “내구연한이 경과했어도 주요부품을 교체하여 정상기능을 확보하고 있고 정밀점검을 통해 열차 안전운행에 지장이 없다”는 입장이다.

박수현 의원은 “철도는 타 교통수단에 비해 친환경적이고 안전한 운송수단이지만 만에 하나 사고로 이어지면 많은 인명피해를 가져올 수 있다”며 “철도안전을 위협하고 있는 낡은 시설과 장비들을 지체하지 말고 시급히 교체해야 할 것이다”고 지적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