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산업단지 재생사업’ 추진방향 밝혀
대전시, ‘산업단지 재생사업’ 추진방향 밝혀
  • 김거수 기자
  • 승인 2015.02.25 17: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민자유치 통해 단계적·전략적으로 실현가능한 사업부터 해결

대전시는 대덕구 대화동 일원에 추진중인「대전 산업단지 재생사업」과 관련하여 확보된 250억원(국·시비)*을 금년 5월부터 도로 등 기반시설 정비를 본격적으로 시작하여 2020년도 까지 공공 및 민자유치 등 재생사업을 마무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대전산단 재생사업 건축물현황도
대전 산업단지 재생사업」은‘09년 정부의 노후된 산업단지 재생 시범사업으로 선정되어* 산업단지의 도로 등 기반시설 확충, 민자유치를 통한 전면수용 개발, 재생지구에 기업유치를 통하여 일자리 창출 등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위해 추진하여 왔다.

그러나, 전면매수 지역의 토지 및 지장물 보상비의 과다, 건설경기 침체 및 공기업 구조조정 등 사회·경제적 여건의 악화로 공기업의 불참 및 민간사업자 공모에 실패하였다.

하지만, 대전시는 도로 및 기반시설 정비사업 등 실현 가능한 사업부터 단계적이고 전략적으로 추진하여, 가시적 성과를 도출하고, 이를 통하여 재생사업의 사업성을 높혀 향후, 국비지원 확대 및 공기업 또는 민간사업자의 참여를 궁극적으로 이끌어 내겠다는 각오를 밝혔다.

이를위한 구체적이고 실현가능한 단계적 사업전략을 보면,

첫째, 금년 5월부터 2020년까지 기존 산업단지 내 도로 기반시설의 확충과 정비를 위한 사업비 824억원을 투자하여 사업추진의 공감대*를 형성하면서 기업체의 참여를 이끌어 낸다.

둘째, 현재 둔산(평송3가)과 대전 산업단지(공구상가)를 연결하는 서측진입도로 계획안에 대하여 국비확보 및 예비타당성 조사없이 조기에 실현가능성이 높은 대안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 추진한다.

셋째, 산업용재 복합단지(공구상가) 천변의 북측 99천㎡의 자연녹지는 토지이용의 극대화 및 성공적인 대전 산업단지 재생사업을 위하여 공공 및 민간자본유치를 반드시 이끌어내겠다고 밝혔다.

넷째, 기존 산업단지 내 산업시설 용지에 제조업과 주거, 상업, 업무 시설이 함께 배치되는 「복합용지」를 계획하여 제조업과 밀접한 서비스업종의 입주를 과감하게 허용하여 활성화를 유도하고, 「수익금」의 25%를 환수하여 재생사업에 재투자를 위한 예산 지원한다.

다섯째, 대전산업단지협회에서 사용하고 있는 대전시 소유의 토지에 행복주택을‘15년부터 `18년까지 120호를 건립하여 무주택 산업단지 근로자(80%)와 주변지역 저소득층(20%)에 공급하여 안정적인 주거환경 제공을 통하여 기업체 근로의욕을 고취한다.

여섯째, 천변고속화도로와 접하고 있는 북측지역 도심입지에 다소 적합하지 않다고 인식되고있는 레미콘, 아스콘 등 환경저해 업체에 대하여는 협의를 통하여 자력개발 또는 대체산업단지 조성 등 장기적으로 이전을 추진한다.

마지막으로, 재생지구 남동측 근로자복지회관 등이 입지하고 있는 부지에 산업단지 근로자를 위한 복지, 문화 종합커뮤니티 공간을 조성한다.

권선택 대전시장은 “과거 60~70년대 대전경제의 심장, 대전발전의 역군으로 오늘날의 대전이 있게 한 대전 산업단지 재생사업을 인내를 갖고 성공적으로 이끌어 내어 쇠퇴해 가는 산업단지에 새로운 활력을 가져다 줄 것”이라며 “행정력을 집중하여 전국에 선도적이고 모범적인 성공사례가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히면서, 이해관계자의 많은 협조를 부탁한다고 말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