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국제핵안보교육훈련센터에서 원전 사이버보안 대책 토론회 개최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민병주 국회의원(새누리당 유성당협위원장)이 주최하는 ‘원전 사이버보안 어떻게 할 것인가?’ 정책 토론회가 2일 오전 대전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국제핵안보교육훈련센터 1층 대강당에서 열렸다.

박상형 한국수력원자력 팀장은 ‘한수원 사이버 위협 대응현황’에 대한 주제 발표에서 “한수원의 사이버 보안 관리 체계를 기존 3개 망에서 5개 망으로 분리, 보안정책을 차별적용하고 원전 안전 운영 강화와 협력사 보안관리 강화 등에 나설 계획”이라며 “이제는 원자력 발전의 시대정신이 효율이 아니라 안전이다. 안전 최우선을 위해 소임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박상우 국가보안기술연구소 본부장은 패널 토의에서 “현재의 백신을 우회하는 악성코드를 탐지할 수 있는 신개념의 해킹 메일탐지 시스템을 개발하고 보급하는 범국가적 노력이 필요하다”며 △국가핵심기반시설 사이버안전 R&D 추진 △제어시스템 사이버안전성 검증제도 시행 △관련 법 제도 개선 추진 등을 주장했다.
염흥열 순천향대 교수는 원전시설 운영 기관의 위험 평가 기반의 정보관리체계의 강화, 악성코드 대응 체계의 고도화, 정보 유출 실시간으로 탐지하는 모니터링 체계 고도화, 악성코드 대응 체계의 고도화, 협력업체에 대한 보안 강화 등을 주장했다.
민병주 의원은 “국내 원자력 관련 산업계, 학계, 정부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국내 원자력 시설의 사이버 보안에 대한 현황을 진단하고 규제 강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뜻깊은 토론회가 열렸다”며 “이번 토론회를 통해서 제시된 현 법체계상 문제점을 시정하고 사이버 테러의 예방과 대응을 위한 법률 개정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충청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