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서해 친환경 에너지 산업벨트 조성 ‘군불’
충남도, 서해 친환경 에너지 산업벨트 조성 ‘군불’
  • 김거수 기자
  • 승인 2015.04.07 14: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역 국회의원들과 토론회 개최…‘연구 인프라’ 구축 등 복안

충남도가 서해안에 집중된 석탄화력발전을 ‘친환경 에너지산업벨트’로 탈바꿈시켜 나아가기 위한 군불지피기에 나섰다. 친환경·고효율 청정 발전 기술 개발과 전후방 연관 산업 육성으로 환경 피해를 줄이고,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까지 올리겠다는 복안이다.

▲ 친환경 에너지산업벨트 조성을 위한 토론회
이를 위해 도는 7일 서울 국회의원회관에서 박완주·김태흠·김제식·김동완 의원 등 지역 국회의원과 함께 ‘친환경 에너지 산업벨트 조성 토론회’를 개최했다.

충남테크노파크가 주관한 이날 토론회에는 안희정 지사와 지역 국회의원, 산·학·연 전문가, 발전사 관계자 등 130여명이 참석했으며, 주제발표와 토론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이 자리에서 안 지사는 석탄화력발전은 우리나라 경제성장을 견인해 온 핵심동력이긴 하지만, 안정적 전력 공급이라는 명분에 따라 환경 문제 등은 소홀히 해 온 것도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안 지사는 석탄화력발전을 친환경 에너지 산업으로 탈바꿈시킬 수 있는 기술혁신이 절실하다며, 화력발전 환경오염 저감을 위한 연구단지 등이 전국 최고 석탄화력발전소 집적지인 충남에 구축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발표는 양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과 유승훈 서울과학기술대학 교수가 ‘청정 에너지 산업의 국내·외 동향 및 발전 방안’, ‘친환경 에너지 산업벨트 조성의 기대효과’를 주제로 각각 가졌다.

양 수석연구원은 발표를 통해 “석탄화력발전 산업의 당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석탄 연소 실증을 위한 테스트베드 구축 등 친환경·고효율 청정 발전 기술 개발과 환경 피해 저감을 위한 미래형 석탄화력발전 산업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유 교수는 “충남 서해는 국내 석탄화력발전소의 50%가 집적돼 있는 곳”이라며 “석탄화력발전 단지를 기반으로 석탄가스화, 수생바이오매스 등 신에너지 실증단지, 신재생에너지 발전단지 등 친환경 에너지 산업벨트를 조성해 청정 발전 에너지 산업 선순환 생태계를 완성할 경우,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발표에 이어 진행된 토론에서 참석자들은 석탄화력발전 전후방 산업 및 부품업체 집적화 방안, 발전소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국가 에너지 정책, 석탄화력발전 산업이 갖고 있는 문제점과 발전 방향 등을 살폈다.

또 충남 서해안에 집중된 석탄화력발전 산업 인프라를 활용, 환경 피해 저감을 위한 청정 발전기술 개발 등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정책이 필요하다는데 뜻을 같이 했다.

김하균 도 경제산업실장은 토론회에서 “지난 2013년 기준 도내 생산 전력의 62.5%는 수도권에 공급되고 있으나, 황산화물질과 미세먼지 등 발전에 따른 사회적 비용은 충남이 고스란히 부담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며 “석탄화력발전으로 인한 환경과 안전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화력발전 테크노센터 R&D 인프라 구축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김 실장은 이어 “올해 한국중부발전과 한국서부발전 본사 이전을 계기로 에너지 산업 집적과 연계한 청정 에너지 산업 정책 추진으로, 발전과 지역 주민이 상생발전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도내 발전량은 2013년 기준 12만 1230GWh로 전국 1위로 나타났으며, 석탄발전 설비 용량은 지난해 기준 1만 2400MW로 전국 2만 6273MW의 47.2% 수준을 기록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