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확산, 질병관리본부 의료체계 ‘구멍’
메르스 확산, 질병관리본부 의료체계 ‘구멍’
  • 김거수 기자
  • 승인 2015.06.03 17: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전 격리조치 지정병원 한 곳, 전염병 확산 취약

대전지역에 중동호흡기증후군 메르스 환자가 하루사이에 4명으로 늘어나면서 시민들의 공포가 높아지고 있다.

정부의 초기대처가 사실상 실패하면서 현재 확진자를 포함해 격리대상자가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어 메르스 바이러스 확산을 막기 위한 대처가 시급한 실정이다.

하지만 현재 질병관리본부가 지정한 대전의 격리조치 병원은 한 곳으로 그 마저도 충분한 병실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사스나 메르스 같은 변종 바이러스 전염병에 취약한 구조를 여실히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결국 질병관리본부는 종합병원 이상에 대해서는 전염병 환자 관리를 할 수 있는 책임과 권한, 법적인 근거가 마련돼야 했지만 이번에도 역시 사고가 터지고 사후약방문격으로 대처를 하고 있어 의료체계 법적인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정부의 늑장대처에 그나마 대전시는 정부의 ‘주의’단계를 넘어 ‘경계’로 격상시키고 비상대책회의를 통해 전염병 확산에 나서고 있다.

한편 대전시는 3일 17시 현재 15개 학교가 휴엡에 돌입했으며 3일 오후에는 대전시를 포함해 대전시의회, 대전교육청, 대전지방경찰청 4개 유관기관이 메르스 관련 대시민 담화문을 발표하며 시민들의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했다.

이밖에 구청과 동 주민센터에서도 행사를 취소하고 전염병 확산을 막기위한 안전대책에 돌입하고 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