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년 4월 20대 총선 국회의원 지역구 숫자가 선거구획정위원회에서 244∼249개 범위로 지정될 가능성이 공개되면서 대전·충남지역은 ±0 이 될 것이란 전망이 적지않아 지역정가가 술렁이고 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산하 독립기구인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는 지난 19일 전체회의를 열고 내년 20대 총선의 지역구 선거구 수를 244∼249개의 범위 내에서 정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는 획정위가 내달 13일 까지 국회에 제출할 단수의 최종안에는 지역구 숫자가 현행과 같은 246개로 유지또는 변경되더라도 소폭의 변화만 불러 올것으로 예상되면서 대전충남지역은 현행 보다 큰 변동없이 현재의 지역구 수가 유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현재 이를 감안할 경우 중앙정치권에서는 영남에서 4석, 호남에서 5석 등 9석이 줄고 경기도 7석, 서울과 인천 각각 1석씩 증가 등이 거론되고 있다.
특히 새정치민주연합에서 권역별 비례대표를 현행 54석을 유지해야한다는 주장하고 있지만 새누리당은 비례대표 수를 줄여서라도 지역구 의원 수를 늘려야한다는 주장이 팽팽하게 맞서면서 양측간 이견 조율이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정치권 일각에선 현행대로 지역구 264석에 변화가 없을 경우 인구 편차를 놓고 시뮬레이션을 할 경우 경북 2곳, 경남·부산 각각 1곳, 강원 1곳, 전남·전북 각각 2곳, 광주 1곳 등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반면 경기도 7곳, 서울·인천 각 1곳 등에서 총 9석이 늘어나게 돼 대전 유성과 충남 천안지역은 우선 순위에서 밀려나 선거구 증설이 불가능할 가능성이 적지 않아 대전·충남지역 주민들의 거센 반발이 예상되고 있다.
이렇게 될 경우 대전과 충남지역 여야 국회의원 중 유일하게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위원으로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는 대전 서구을 출신 새정치민주연합 박범계 의원에게도 적지않게 정치적 부담감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완전 배제할 수 없어 향후 추이가 주목된다.
한편 추석 민심을 잡아야하는 농어촌 지역구 국회의원들은 농어촌 지역의 특수성을 고려해달라면서 여·야 지도부의 고민이 깊어가고 있어 결국 여야 당 지도부의 결정으로 판가름 될 것으로 조심스럽게 점쳐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