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주택 모여 하나의 마을 만들어…도시 공동체 패러다임 다변화
‘공동주택 경계 허물기’ 등 행정중심복합도시(이하 행복도시) 주민들의 공동체(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통합 공동체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공동주택단지의 공동체(커뮤니티)시설 통합 운영은 국내에서 처음으로 도입되어 우리나라의 새로운 공동주택 문화를 만들어 나갈것이다.
이 같은 방침은 개방과 공유, 소통과 협력을 바탕으로 국민의 눈높이에 맞춰 행정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부3.0의 일환으로 마련됐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청장 이충재, 이하 행복청)은 행복도시 2-2생활권(세종시 새롬동) 총 11개 단지를 설계공모 때부터 하나의 마을 개념으로 설계하고 그중 2~4개 단지를 1개의 소권역으로 묶어 해당권역에서 필요한 단지공동체(커뮤니티) 시설을 여러단지의 중앙 가로변에 통합 배치하여 오는 2017년 상반기 주민 입주시기부터 본격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헬스, 교육, 문화, 생활양식(라이프스타일) 등 권역별로 주제를 설정하고 설계 시부터 특화계획이 마련됐다.
행복청은 주민들이 인근 단지의 부대복리시설을 서로 이용할 수 있도록 공동주택 관리규약 표준안을 만들어 시범적용한 뒤 2-2, 4-1 생활권 등 행복도시 전 지역으로 확대 적용할 방침이다.
□ 그동안 첫마을 등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한 결과 단지별로 주민복리시설이 대부분 중복 설치돼 시설운영에 어려움이 발생함에 따라 주민복리시설 운영 활성화와 주민상호 간 공동체(커뮤니티) 형성을 위해 통합 시설을 기획하게 됐다.
이밖에도 2-2생활권(세종시 새롬동) 전체를 통합디자인 개념을 도입해 각 단지를 순환하며 산책이 가능하도록 생활권 순환산책로(2.8km)를 두고, 보도의 포장 및 시설물의 디자인 등을 전문 연출가(코디네이터)의 통합 설계를 통해 설치할 예정이다.
이충재 행복청장은 “2-2생활권은 주민 간 벽을 허무는 새로운 마을공동체의 표본이 될 것이며 이를 통해 향후 행복도시 전체가 하나의 마을공동체 형성되는 계기가 될 것“ 이라고 말했다.
행복도시 2-2생활권(세종시 새롬동) 공동주택단지는 지난 2013년 설계공모를 통해 대우건설, 현대건설, 포스코건설, 계룡건설 등 대형 건설사와 지역 건설사가 골고루 당선돼 디자인 경쟁을 벌였던 지역으로 인근 2-1생활권(세종시 다정동)과 함께 행복도시의 대단위 특화단지로 주목받고 있다.
저작권자 © 충청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