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마이스(MICE)산업 활성화를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대전국제전시컨벤션센터’ 건립 사업의 운명이 오는 14일쯤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5일 대전시에 따르면 대전 국제전시컨벤션센터 건립사업이 지난달 28일 열린 행정자치부 중앙투융자심사위원회 전체회의의 심사를 마침에 따라 이달 14일쯤 최종 결과가 나온다. 앞서 행자부 중투위는 지난 달 22-24일 각 분과별 회의를 열었으며, 대전국제전시컨벤션센터의 건립도 전시산업분과에서 심사 안건으로 상정, 논의됐다.

◇중투위 심사 통과 국비확보위해 꼭 필요
시는 국제전시컨벤션센터 건립을 위한 사업비 총 954억 원(시비 668억 원) 가운데 286억 원을 국비로 충당할 계획이다. 따라서 중투위 심사는 예산 확보를 위해서 반드시 통과해야 할 관문이다.
중투위 심사 회의 내용이 비공개인 만큼, 대전국제전시컨벤션센터 건립 사업에 대한 결과가 어떻게 나올 지는 현재로선 알 수 없다. 시는 전시회 운영수입 등의 의견 일부를 반영시키며 최종 평가에서 비용대비 편익을 0.84로 끌어올렸으나 비용대비 편익(B/C)이 0.9이상 나와야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어 여전히 심사 통과를 낙관하기는 이르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정책성’ 긍정적 평가 나와 기대감 높아
하지만 당초 문제가 될 것으로 보였던 정책성이 긍정적으로 평가된 것에 기대를 걸고 ‘당위성’을 부각시키는데 총력을 기울여 왔다.
우선 대전국제전시컨벤션센터가 들어설 무역 전시관이 지난 1993년 ‘대전 엑스포’ 당시 지어진 창고형 임시 가건물로, 안전사고 발생 위험 이 상존해 철거 후 신축이 시급하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시는 국토균형발전 차원에서 중부권의 열악한 전시 공간 확충이 필요하다는 점을 부각시켰다. 실제로 대전 반경 120㎞ 이내엔 이렇다 할 전시시설이 전무한 실정이다. 반면 경기도 고양에는 킨텍스(KINTEX), 부산엔 벡스코(BEXCO), 대구엔 엑스코(EXCO) 등의 대규모 전시컨벤션 시설이 위치해 대전과 대조를 보이고 있다. 이는 국가균형발전 경시 논란으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인근 세종시 정부기관 입주 등으로 전시․컨벤션 수요에 대한 필요성, 대덕R&D특구 및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등 국책사업과 연계한 전시공간의 활용성 등이 중투위 심사에 긍정적으로 작용 할 것이라는 기대감을 갖고 있다.

◇권선택 시장, 행자부 장관 만나 협조 부탁 등 총력
그동안 권선택 시장을 비롯한 대전시 간부 등은 행자부 장관과 행자부 재정실장 및 재정정책관 등을 수차례 만나 대전국제전시컨벤션센터 건립 당위성을 설명하고 협조를 구하는 등 사업 추진을 위해 전방위로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시는 대전국제전시컨벤션센터 건립사업이 행자부 중투위를 통과하면 오는 7월 설계공모에 들어가고, 내년 7월쯤 시공사를 선정하는 등의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다.
정재용 대전시 국제협력 담당관은 "대전국제전시컨벤션센터 건립사업의 의미가 매우 큰 만큼 그동안 시장님을 비롯한 온 공무원들이 중투위 심사에 대비해 총력을 기울여 왔다“며 “건립의 당위성 등 여러 상황을 종합할 때 긍정적인 결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대전 국제전시컨벤션센터는 유성구 도룡동 4만 970㎡ 부지에 지상 2층, 지하 2층 규모의 다목적전시장으로, 전시홀(7500㎡)과 다목적홀 (2520㎡), 부대시설(1만 350㎡), 주차장(2만 600㎡) 등을 갖출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