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의 2021학년도 수능 절대평가 확대와 관련, 21일 대전에서 마지막 공청회가 열렸으나 이번에도 학부모와 교사를 비롯해 대학관계자 등이 의견을 달리했다.
이날 충청권 공청회에서는 교육부의 안에 대해 일부 절대평가 1안과 전면적 절대평가 2안의 대립은 물론, 절충안인 3안이 나와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먼저 2안을 주장하는 안상진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정책대안연구소장은 “수능 개편 1안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능 개편 방향과 맞지 않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안 소장은 이어 “전면 절대평가인 2안을 채택하되, 국영수를 공통과목만으로 치르도록 수능 시험 범위를 조정해야 하며 고교 2.3학년 선택과목 중 전공적합성에 맞는 과목의 내신을 반영해 동점자를 처리하는 방식으로 수정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1안에 찬성하는 조정기 순천향대 수학과 교수는 “수능 절대평가가 확대될 경우 대입 전형 개편으로 혼란을 초래할 것”이라며 “우선 1안으로 시작한 후 연구, 검토를 거쳐 성취평가제와 고교학점제 등과 함께 단계적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자유토론에서 이종배 공정사회를위한국민모임 대표는 “공청회 4번 다 참석했는데 국가 정책이 이렇게 엉망일 줄 몰랐다”며 “학생, 학부모 입장을 듣고 정책을 만들어 달라”고 당부했다.
청주 교대 교수라고 소개한 참석자는 “절대평가가 옳지만 1안, 2안 던져 놓고 선택하라는 것은 가혹하다”며 “1안과 2안의 절충안을 내놓고 개선해야하는 방향으로 중지를 모아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한편, 교육부는 공청회에서 나온 의견들을 종합적으로 수렴해 이달 31일 2021학년도 수능 개편안을 확정할 계획이어서 귀추가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