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시민사회단체 석면대책본부 구성한다
대전시·시민사회단체 석면대책본부 구성한다
  • 김거수 기자
  • 승인 2009.01.16 04: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석면관리실태·석면 사망자 역학조사

대전시가 '석면대책본부'를 구성, 개선 대책 마련에 나선다.

이는 최근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석면으로 인한 '악성중피종' 사망자 수 및 암 등록 비율이 광역시 중 대전시가 가장 높게 나왔다는 지적이 잇따르자 긴급 진화에 나선 것.

15일 시에 따르면 악성중피종 발생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알려진 석면의 폐해에 대해 알지 못 했지만, 최근에야 국제의학계에서 악성중피종이 석면피해의 지표적인 질병으로 알려지고 있다고 밝혔다.

또 특정대기유해물질로 분류된 석면이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 관리법' 상에는 석면을 '권고기준'으로 관리토록 해 이를 위반해도 과태료를 부과하지 않고 있다고 한다.

이와는 별도로 시는 매년 1회 이상 도서관, 병원, 지하상가 등과 100세대 이상 신축되는 아파트, 연립주택, 기숙사 등 264개 다중이용시설에 대해 정기점검을 해 오고 있으며, 특별히 민원발생 지역에는 수시점검을 하고 있다.

지난 2007년 321개소를 지도 점검했고, 64개소의 오염도 검사 결과 위반 사항은 없었다. 또 올해부터는 보건환경연구원에서 석면분석장비(현미경)를 추가 확보,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공기질 석면오염도를 분석할 계획이다.

시는 빠른 시간 내에 시민·사회단체와 협력해 석면대책본부의 운영에 들어가 개선 대책 마련에 나서기로 했다.

이 대책본부는 대전 전 지역 석면 오염실태 조사 및 석면지도 작성하고, 과거 대전지역 석면 관련 산업시설 및 종사자 등을 조사하게 된다. 특히 중구 태평동 소재 과거 벽산건설공장 주변과 지난 2000년~2005년 사이 대전지역 석면 사망자 11명에 대한 역학조사를 벌일 예정이다.

이를 통해 대전시 석면관리실태 전면 파악 및 개선대책 마련 등을 실시한 후, 석면관리특별대책을 조속히 마련, 시행한다는 방침이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