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자동차 부품산업이 국내 완성차 내수 및 수출 부진과 수입차 점유율 확대로 위기징후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양승조 도지사가 심폐소생에 나섰다.

양승조 지사는 30일 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현재의 어려움이 위기로 이어져서는 안 된다”면서도 “만약 위기상황이 닥치면 ‘충청남도 위기대응매뉴얼’에 따라 신속하게 대응해 나아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신용보증서 발급 등 유동성 위기자금 100억 원, 기술혁신자금을 600억 원, 중소기업 육성에 3780억 원, 벤처투자조합(펀드)로 76억 원을 지원한다.
이와 함께 해외 판로 개척 및 수출 마케팅, 컨설팅 등 지원, 근로자 고용 안정과 실직자 재취업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중장기 대책으로는 △ICT 제조공정 혁신 고도화 지원 28억 원 △자동차 융합 부품 세계화 지원센터 구축·운영 50억 원 △미래차 핵심 융합 기술 개발 9개 사업 등을 추진한다.
이에 필요한 재원 중 24억 원은 1회 추경을 통해 확보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부품산업 지역 자영업자와 소상공인 등을 위해 △전통시장 시설 현대화 및 경영 혁신 지원 62억 원 △소상공인지원센터 및 보부상콜센터 운영 △점포 환경 개선 및 온라인 마케팅 4억 원 등을, 사회안전망 구축을 위해 △노란우산공제 가입 지원 3억 원 △소상공인 사회보험료 300억 원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에 더해 지역 소비 촉진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충남지역화폐 운영 지자체를 8곳에서 13곳으로 늘리고, 발행액은 124억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양 지사는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정한 산업위기특별대응지역 지정 기준과 위기지역 지정에 따른 장단점을 분석해 시장·군수, 산업계, 도민 의견을 들어 위기지역 지정 신청 여부를 결정할 것”이며 “위기지역으로 지정될 경우, 즉시 도시자를 본부장으로 대책본부를 꾸리고 분야별 대책반을 가동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자동차 부품산업을 대체할 보완 사업 발굴, 실직 근로자 지원, 지역경제 활성화를 이끌어 낼 SOC 사업 등을 발굴해 중앙정부와 함께 힘을 모아 나아가겠다”라며 “자동차 부품산업 우축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을 종사자들과 도민들의 걱정을 덜어 드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2017년 말 기준 종사자 10인상 규모의 도내 자동차관련업체는 588곳으로, 41,597명이 근무 중이며, 출하액 총액은 22조 6,786억 원으로 집계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