웰빙과 다이어트 열풍 등으로 우리 국민이 쌀은 갈수록 적게 먹고 보리와 콩은 많이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전국 천6백여 표본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2005양곡년도(2004.11.1~2005.10.31)의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80.7kg으로 전년의 82kg보다 1.3kg,1.6% 감소했다.
쌀 소비량 매년 감소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2001년 88.9kg,2002년 87kg,2003년 83.2kg,2004년 82kg,2005년 80.7kg으로 각각 5%,2.1%,4.4%,1.4%,1.6%가 감소해 해마다 줄어들고 있다.
1인 하루 평균 쌀 소비량도 두 공기 정도인 221.2g으로 전년보다 3.4g,1.5%가 줄었다.
이처럼 쌀 소비량이 줄어든 것은 웰빙과 건강 등을 챙기면서 쌀 대신 과일과 채소 등 대체 식품의 소비가 늘고 미용과 다이어트 등으로 식사를 거르는 횟수가 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비농가의 경우는 지난해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이 77kg에 불과한 반면 웰빙이나 다이어트에 큰 신경을 쓰지 않는 농가의 경우는 130.8kg으로 비농가보다 1.7배가 많았다.
쌀 소비 감소, 과일.콩.보리 소비는 증가
또 가정의 주식인 쌀과 육류는 2004년에 전년대비 각각 1.4%와 1.3% 감소했지만 과일류와 채소류는 5.4%와 5.5%가 증가했다.
1인당 보리쌀 소비량 역시 지난해 9.1%나 증가했고 콩류는 8.3%, 감자와 고구마 등은 13.6%가 늘었다.
이와 함께 1인당 식사를 거르는 결식 횟수는 지난해 24.75회로 2004년의 24.61회보다 0.14회,0.6% 증가했다.
한편 월별 쌀 소비량은 설 연휴가 시작된 2월에 차례용 떡 소비 증가 등으로 1인 하루 평균 238.5g을 소비해 가장 많은 쌀을 먹었고 여름 휴가철인 8월에는 212.7g으로 가장 적게 소비했다.
또 우리나라 국민의 1인당 쌀 소비량이 지속적인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61.9kg인 일본과 48.6kg인 대만과 비교해선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CBS경제부 정재훈 기자 floyd@cb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