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서간 산발적 자전거 정책 시행, 효율성 저해 지적
충남도의 장기적인 자전거 정책 수립 및 추진을 위해 자전거 전담부서 신설이 시급하다는 여론이 거론되고 있다. 정부는 2009년 주요 정책으로 저탄소 녹색성장을 제시했다. 이에 따라 각 자치단체들은 녹색교통의 핵심인 자전거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분주한 행보를 보이고 있다.

충남도 역시 녹색성장 일환으로 오는 2010년 완공하는 도청이전신도시 도로 28개 노선(70.1km)에 폭 2~3m의 자전거 도로 설치를 추진하고 있다.
이와 함께 천안시, 아산시 등 도내 16개 시.군에서도 저탄소 녹색성장 비전 일환으로 곳곳에 자전거 도로를 설치하는 등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위한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정작 도내에는 장기적인 자전거 종합 정책을 수립하고 이를 총괄, 관리 감독 할 수 있는 실질적인 전담 부서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4일 도에 따르면 건설교통국 건축도시 도시기반담당과에서 자전거 전반에 대한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상태며, 공무원 정원동결과 총액인건비 부족 등의 문제로 전담부서 설치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전국 246개 자치단체 중 자전거 전담부서가 설치된 곳은 총 29곳(광역7, 기초22)으로 충남 16개 시.군 중 전담부서가 설치된 곳은 공주시 한 곳에 불과하다.
이에 비해 경기도는 5곳, 경북 3곳, 서울 7곳, 대전 1곳 등에 이르며 경기도의 경우 지난 6월부터 11월까지 자전거 이용실태 일제조사를 실시하고 일선 시.군에 자전거 전담부서 설치를 권고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자전거 이용이 활성화되고 있는 지역의 중요 공통점으로 자전거 전담부서 운영을 들고 있으며 전담부서가 없는 곳은 부서간 산발적인 진행으로 효율성이 저해된다고 지적하고 있다.
도 건축도시 관계자는 "예산 등의 문제로 전담부서 신설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아직까지 자전거 전담부서 신설에 대한 정확한 사안은 결정되지 않은 상태”라고 밝혔다.
황우성 충남도의회 의원(연기,한나라당)은 “지난 2008년 자전거도로활성화를 위한 지원 조례를 발의했었으나 예산 미비 등으로 보류됐다”며 “오는 9월 이에 대한 지원 조례를 다시 발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자전거 이용 활성화의 체계적인 추진을 위해 전담부서 설치를 촉구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응규 자전거사랑전국연합회 충남본부 지부장은 "자전거도로만 설치한다고 자전거 이용이 활성화되는 것은 아니다"라며 "자전거 이용을 체계적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전담부서 설치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충청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