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1월~12월 행정인턴 기간 만료, 충남도 대책은?
오는 11월에서 12월 사이 충남도 행정인턴 기간이 만료되게 됨에 따라 무더기 실업사태가 발생 할 것이라는 우려가 속속 제기되고 있다.

정부는 장기적인 경기 침체로 인한 청년층 취업난의 가중을 고려해 청년층 고용정책의 핵심인 행정인턴 제도를 도입, 올해 1조3000억원 가량의 예산을 배정했고 5만4000개의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그러나 행정인턴 계약기간 만료를 앞둔 현재, 기간 만료 후 행정인턴을 정규직으로 전환시키려는 건에 대해 검토 중인 기관은 극히 드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기간만료를 앞둔 당사자들은 실질적인 취업 대안이 없는 현실과 불확실한 미래 때문에 불안감을 떨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 경제정책과에 따르면 행정인턴제 예산은 총 99억8천700만원으로, 도입 초기 행정인턴 목표인원 1052명(도 234, 시·군 818) 중 총 1420명이 채용됐다. 이 중 중도퇴직 488명을 제외한 932명이 현재 행정인턴으로 근무 중이며 중도 퇴직인원 중 취업자는 396명으로 중도퇴직자의 81.2%를 차지하는 수치다.
도는 청년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지난 1월 행정인턴 신규모집에 이어 4월 도 본청과 직속기관, 사업소 및 16개 시·군에서 근무할 행정인턴을 추가 채용했다.
모집 요강 내용을 살펴보면 행정인턴의 근무기간은 약 10개월이며 근무시간은 주 40시간(주 5일 근무), 급여는 4대 사회보험 가입과 함께 월 110만원 정도가 지급된다.
행정인턴 담당업무의 본래 취지는 단순 사무보조 및 잡무를 지양, 전공 자격증 등을 고려한 전문분야별 실무경험 체득 중심의 업무로 되어 있다.
그러나 대다수의 인턴들은 업무를 시작한지 채 얼마 되지 않아 담당 업무에 대해 불만을 제기하기 시작했고 예기치 않은 중도 포기자가 속출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실질적인 직장체험 및 전문성 향상 기회를 제공하겠다던 정부의 약속이 인턴기간 내 허드렛일이나 잔심부름으로 대체됐다고 불만을 드러냈다.
도 경제정책과 관계자는 이에 대해 행정인턴제가 단순한 일자리 제공에서 벗어나 장차 정식취업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이들에 대한 다양한 지원시책을 펼치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주요내용으로는 행정인턴의 취업지원을 위해 외국어 및 정보화교육 지원, 지역 고용지원센터와 연계한 맞춤형 일자리정보 제공, 우수기업 취업박람회 참가, 우수 행정인턴 도지사 입사추천서 발급 등이다.
그러나 이 같은 시책에 대해 당사자들은 대부분 회의적인 입장을 드러냈다.
도 행정인턴 A씨(24.남)는 “이 같은 시책들이 실질적인 취업에 얼마만큼 도움이 될지는 미지수”라며 “일회적인 것이 아니라 지속 근무가 가능한 양질의 청년 일자리를 양성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도 경제정책과 관계자는 “어느 회사, 기관을 막론하고 처음 시작은 기본적인 업무에서 시작한다”며 “개인 판단 여부에 달린 것이지만 주어진 기회에 대해 긍정적이고 진취적으로 생각하고 일에 임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또 “노동부 고용센터와 연계해 취업관련 정보를 지속 제공하는 등 취업을 위한 개인역량 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도가 제공하는 프로그램에 적극 임한다면 분명 취업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충청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