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 상위 계층과 하위 계층간의 사교육비 지출 규모가 9배 가까이 차이나는 등 사교육비에서도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원비와 과외비 등 사교육비 지출에서도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균관대 양정호 교수가 한국노동연구원의 노동패널조사 2001∼2004년 자료 가운데 사교육비를 지출한 1천500 가구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가구당 월 평균 사교육비는 2001년 26만8천원에서 2004년 36만9천원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그러나 상위 20%와 하위 20%간의 사교육비 지출은 9배 가량 차이가 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2004년 기준으로 상위 20% 계층의 월평균 사교육비는 83만8천원.
이에 반해 최하위 20% 계층의 월평균 사교육비는 9만8천원으로 상,하위 계층간의 사교육비 지출 격차는 8.6배에 달했다.
특히 계층별로 사교육비 지출 추이를 살펴보면 하위 20%의 사교육비는 지난 2001년 7만5천원에서 2004년 9만8천원으로 2만3천원 정도 늘어나는데 그쳤다.
반면 상위 20%는 56만8천원에서 83만7천원으로 26만9천원이나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상위와 하위 계층간의 사교육비 지출 격차는 지난 2001년 7.6배에서 2004년 8.6배로 더욱 확대됐다.
또 사교육비 지출의 불평등을 나타내는 지니계수도 2001년 0.37에서 2004년 0.39로 높아져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됐다.
CBS사회부 임미현 기자 marial@cb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