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패배' 미래통합당, 김종인 비대위 체제 결론
'총선 패배' 미래통합당, 김종인 비대위 체제 결론
  • 김거수 기자
  • 승인 2020.04.22 11: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심재철 원내대표 "20대 국회의원 21대 당선자 다수가 원해"
전대 준비용 아닌 대선위한 전권 부여할 지가 최대 관심사
미래통합당 정진석 공주부여청양 후보 지원유세를 위해 8일 공주시외버스터미널을 찾은 김종인 총괄선대위원장이 한 시민과 인사하고 있다.
21대 총선 당시 충남을 찾은 미래통합당 김종인 전 총괄선대위원장이 한 시민과 인사하고 있다.

21대 총선에서 궤멸적 수준의 참패를 거둔 미래한국당이 비상대책위원회 체제 전환으로 가닥을 잡았다.

위기에서 당을 건져낼 ‘구원투수’역할을 하게 될 비대위원장으로는 김종인 전 총괄선대위원장이 추대될 전망이다.

통합당 심재철 원내대표는 22일 최고위원회 이후, 20대 국회의원과 총선 당선자 설문조사 결과 ‘김종인 비대위’에 대한 의견이 다수로 나왔다고 밝혔다.

그는 “ 20대 국회, 21대 당선자 142명에게 전부 전화를 돌려 최종적 의견 수렴을 했다”며 “그 결과 김종인 비대위가 다수로 나왔다”고 밝혔다.

이어 “김종인 비대위로 가도록 할 생각”이라며 “상임전국위, 전국위 절차를 거쳐야 하는데 다음 주 초쯤 절차를 거치도록 할 생각”이라고 했다.

그는 또 김 전 위원장의 비대위원장직 수락 여부에 대해선 “받아들이실 거라 생각한다”고 했다.

통합당이 ‘김종인 비대위’로 가닥을 잡았지만 현실화까지는 ‘넘어야 할 산’이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김 전 총괄선대위원장이 비대위원장 수락의 주요 배경으로 밝힌 밝힌 ‘전권(全權)’을 줄 수 있느냐는 문제를 풀어야 한다는 것.

실제 김 전 위원장은 이날 한 라디오 방송에 나와 “조기 전당대회가 전제된다면 할 수 없다”며, 비대위 활동 시한을 정하지 않고 전권을 줘야 비대위원장직을 수락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그는 또 “당헌·당규에 너무 집착하다 보면 비대위가 아무것도 할 수가 없다”며 “다음 대선을 어떻게 끌고 갈지 준비가 철저히 되지 않고서는 지금 비대위를 만드는 의미가 없다”고도 했다.

정치권에서는 김 전 위원장의 이 같은 발언에 대해 2년 앞으로 다가오는 대선 준비에 본격적으로 돌입하게 되는 올해 말까지는 당을 운영하겠다는 의미인 것으로 풀이하고 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