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 비대위 가동, 당 쇄신, 국회 원구성 협상 등 과제
미래통합당 원내 지도부의 라인 업이 ‘영남-충청’ 주축으로 가닥이 잡혔다.
21대 총선 참패 후 당의 쇄신을 책임질 원내사령탑에 TK 출신 5선인 주호영 의원이 정책위의장에 충청권의 이종배 의원(3선)이 각각 선출된 것.
통합당은 8일 국회에서 당선인 총회를 열어 주 의원과 이 의원을 각각 원내대표와 정책위의장으로 선출했다.
주 신임 원내대표와 이 신임 정책위의장은 84명의 당선인 가운데 70%에 해당하는 59명의 지지를 얻었다.
원내지휘봉을 쥐게 된 주 원내대표는 황교안 전 대표의 사퇴 이후 공석인 당 대표직의 권한도 대행한다.
21대 국회 개원을 앞두고 새롭게 출범하는 통합당 원내지도부는 당 쇄신과 수권정당화라는 과제를 안고 있다는 점에서 주·이 의원의 역할에 이목이 집중된다.
당장 주 원내대표는 전대미문의 ‘수퍼 여당’이 된 더불어민주당과 21대 국회 원구성 협상을 주도해야 한다.
또 임기 문제 등으로 답보 상태에 있는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체제에 대한 결론도 내야 한다.
당 대표 권한대행으로서 총선 패배로 침체의 늪에 빠진 당 조직을 추스르고 수권정당으로서의 능력을 보이는 것 역시 당장 풀어야 할 숙제다.
이와 함께 미례대표 자매정당인 미래한국당과의 관계 정립 및 통합 등의 문제도 해결해야 할 과제다.
주 원내대표는 이 같은 정치적 상황을 감안한 듯 기자회견을 통해 수권정당 도약에 대한 강한 의지를 내비쳤다.
그는 “거대여당 앞에서 우리 당의 난제들이 산적한 상황에서 참 어려운 자리 아니겠는가”라며 “당인으로서 모든 역량을 돌리는 것이 도리라고 생각해 (원내대표를) 맡게 됐다”고 했다.
이어 주 원내대표는 “당선자, 당원들과 매사 협의해서 정말 국민들로부터 사랑받는 미래통합당이 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수권정당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올 한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이 정책위의장도 “우리 당 의원들이 비록 숫자는 작지만 강한 야당이 될 수 있도록 더 연구하고 공부하고 노력하는 그런 의원들이 될 수 있도록 제가 이끌어나가고, 뒷받침도 해나가도록 하겠다”고 했다.
한편 양자 대결로 치러진 이번 경선에서 기호 2번인 권영세 원내대표 후보와 조해진 정책위의장 후보는 25표를 받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