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녹지 확장' 주문
대전지역 시민단체가 10일 둔산센트럴파크 조성사업에 대해 전면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놨다. 대전시가 센트럴파크 조성 기본계획 최종 보고회를 열고 8년간 942억 원을 투입한다는 추진 계획을 발표한지 하루 만이다. 특히 시민단체는 수목 식재를 통한 도심 녹지축 형성이 아닌 기존 공원에 신규 시설 조성과 공원들과의 연결인 것이라며 사업을 평가절하했다.
대전환경운동연합을 비롯해 14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대전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는 이날 논평을 통해 녹지공간 조성사업이 아닌 시설물 설치사업이라고 비판했다.
단체는 "공원 간 연결을 위한 횡단보도, 공원시설 등으로 205억, 지하공간 리모델링과 거점시설 건축 등으로 291억이 쓰여진다. 총 496억으로 녹지를 연결하기 위한 시설에 총 예산에 절반이상이 사용된다"고 지적했다. "기후친화, 스마트 공원 조성이나 숲 프로그램, 리빙랩 사업은 국비를 제외하고는 약 70억 정도만 배정됐다"고도 했다.
연결성의 전제인 보행권 확보에도 문제를 제기했다. 둔산센트럴파크 사업 연계성의 핵심은 안전하고 편리한 보행권 확보가 전제돼야 시설을 짓는 데 정당성이 확보된다는 것.
이들은 "이를 위해 차 없는 거리나 자동차 이용 억제 구간, 교통량 제한 등이 필요하지만 이런 내용은 없다"며 "이용자들은 고원식 횡단보도를 비롯해 공중보행데크나 보행육교를 이용한 ‘하늘숲길’이나 지하보도나 지하문화공간을 이용한 ‘숲속아래길’로 자동차를 피해다녀야 하는 상황"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공원연결보다 더 시급한 것은 대전시 전체의 녹지공간 확대"라면서 "획기적이지도 않고 설득력 없는 시설위주의 예산 투입이 이 시기에 적절한지를 대전시는 다시 판단해야 할 것"라고 강조했다.
시민단체의 이같은 지적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앞서 대전충남녹색연합, 대전충남생명의숲, 대전환경운동연합 등 3개 환경단체는 지난해 12월 공동성명을 내고 "둔산센트럴파크 조성사업은 녹지공간을 확충하고 교통량을 제한하는 등 실질적인 행동을 하는 세계적인 흐름과도 맞지 않는다"며 "시대 흐름에 역행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