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당권·대권 분리규정, 전당대회 최대 쟁점으로
민주당 당권·대권 분리규정, 전당대회 최대 쟁점으로
  • 김거수 기자
  • 승인 2020.06.12 09: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당대회, 대권주자간 각축장 양상...이낙연 대 反 이낙연 구도

더불어민주당의 당권·대권 분리규정이 8월 전당대회 최대 쟁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이낙연(왼쪽) 국회의원과 김부겸 전 국회의원
더불어민주당 이낙연(왼쪽) 국회의원과 김부겸 전 국회의원

당권주자를 가르는 전당대회가 대권주자간 각축장 양상으로 비화하면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풀이된다.

12일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당 전당대회가 대권주자 선호도 1위인 이낙연 의원 대 반(反) 이낙연 구도로 흘러가고 있다.

이 의원이 당권 도전 결심을 굳힌 것으로 알려지자, 당내 또 다른 대권주자들이 당권·대권 분리규정을 고리로 견제구를 날리고 있는 것.

이 의원을 향해 견제구 성격의 돌직구를 날린 대표적 주자는 보수진영 정당의 텃밭인 대구에서 고배를 마신 김부겸 전 의원이다.

김 전 대표는 당 대표 임기 2년을 채우는 것을 ‘정치인의 책임의 문제’라며, 이 의원을 향해 날을 세우고 있다.

특히 그는 “당 대표가 되면 임기를 채우겠다”고 피력, 전대에서 승리하더라도 대선 출마를 위해 7개월 만에 대표를 그만둬야 하는 이 의원을 정조준했다.

당권·대권 분리를 놓고 ‘이낙연 대 김부겸’간 대립각이 형성되면서 또 다른 대권주자들도 ‘정중동’의 움직임으로 이 의원을 견제하는 모습이 감지된다.

김 전 의원과 원내 지휘봉을 쥔 경험이 있는 우원식·홍영표 의원이 세 결집을 모색하고, 박원순 서울시장과 이재명 경기지사 등 대권주자들도 보이지 않은 견제에 나설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것.

상황이 이렇게 흐르면서 민주당내 일각에서는 야당시절 만든 당권·대권 분리규정을 손 봐야 한다는 얘기까지 나오고 있다.

야당 시절 당의 대권후보를 정치적 공격에서 보호하고 당무의 부담을 덜어 대선에 올인할 수 있도록 한 규정이 자칫 2중 권력을 탄생시킬 수 있다는 것이 이유다.

특히 당권·대권 분리규정을 수정해야 한다는 쪽은 코로나19 사태 극복과 내년 재보선을 앞두고 있어 관리형이 아닌 전시형 대표가 필요하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민주당 당직자 출신의 한 인사는 “야당시절 대권 후보를 인큐베이팅하고자 만든 규정이 거대 여당의 유력 후보들의 운신을 압박하고 있다”면서 “새로운 대표가 위기국면을 돌파할 수 있도록 당헌당규를 개정해 대선 6개월 전 사퇴로 변경하는 것이 합리적이지 않느냐”고 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