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어린이 재활병원 건립 예산, 도시철도2호선 설계비 등도 포함
2021년은 대전이 바이오 산업 메카로 도약하는 원년이 될 전망이다. 바이오 관련 예산이 내년도 국비에 대부분 반영되면서, 관련 산업 활성화에 청신호가 켜진 것. 대전시는 내년도 정부예산안에 주요 현안 대부분이 반영됐다고 1일 밝혔다.
이날 국무회의를 통해 확정된 정부 예산안에는 대덕특구 재창조 선도사업, 바이오, 4차 산업 등 과학도시 대전의 위상을 더욱 강화할 수 있는 핵심 사업들을 다수 반영됐다는 것이 시의 설명이다.
우선 바이오 관련 사업 내용을 살펴보면 ▲병원체자원 공용연구시설 구축(48억 5000만 원) ▲감염병 치료제·백신 조기 상용화 지원(10억 5000만 원) ▲바이오메디컬 규제자유특구 혁신사업(42억 원) ▲정밀의료기술 상용화지원 플랫폼 구축(25억 원) 등이 반영됐다.
이에 따라 허태정 시장 후반기의 안정적 시정운영은 물론, 대전이 감염병 등 관련 바이오 메카로 부상할 발판을 확고히 했다는 것이 시의 설명이다.
이와 함께 내년 정부 예산안에는 국가 연구개발(R&D)의 중추인 대덕특구를 개방·융합의 시대에 맞게 세계적인 융·복합 혁신지구로 육성할 대덕특구 재창조 선도 사업인 ▲대덕특구 융합연구혁신센터 조성 착공비 10억 원 ▲마중물플라자 조성 사업 기획비 3억 원이 각각 반영됐다.
4차 혁신산업의 마중물 사업도 포함됐다. ▲국립중앙과학관 인공지능(AI)공원 기획비(3억 원) ▲실감형 디지털 스튜디오 큐브 조성 사업비(49억 원)가 내년도 신규 사업으로 예산안에 반영된 것.
또 ▲수상촬영이 가능한 다목적 스튜디오 조성(27억 5000만 원) ▲대전 지역기반 게임 산업 육성(15억 원) 사업도 계속 사업으로서 내년 추진에 차질이 없을 전망이다.
이와 함께 공공어린이 재활병원 건립 사업(22억 원)이 추가 증액돼 추진되며, ▲원자력안전 시민참여형 감시·소통체계 구축 운영 신규사업(6억 원) ▲재난안전통신망 운영 연계시스템 구축 사업(10억 원) ▲사회적경제 혁신타운 조성사업(43억 원) 등 지역 현안과 시민 안전 관련 사업이 예산에 반영됐다.
대전도시철도 2호선 트램건설은 설계비 90억 원이 반영돼 정상 추진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며 ▲대전 역세권 재정비촉진사업 기반시설 설치(109억 원) ▲경부선(회덕~조차장간) 장등천교 개량사업(17억 원) 등이 계속 사업으로 내년 예산에 반영됐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이번 정부예산에 대덕특구 융합연구혁신센터 조성 등 핵심 약속사업 등이 반영돼 가시적인 민선 7기 성과 창출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 지역 국회의원과 협력체계를 더욱 공고히 구축해 지역 현안들이 정부예산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강가에 서있는 애 마냥 불안하게 시정을 한다는 말이
시중에 파다하다는 건 알고, 잘 해주었음 하는 바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