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암서원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1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온라인 특별전이 개최됐다.
충남역사문화연구원에 따르면 '돈암서원, 세대를 잇다'는 7일 오후 2시 이후 충남역사문화연구원과 충남도청, 논산시청, 돈암서원 홈페이지에서 PC용 또는 스마트폰용 앱을 다운받은 후 전시 관람이 가능하다
이번 전시는 비대면시대 관람객들과의 소통을 위해 VR 콘텐츠, 충청유교인물 스토리텔링, 인터랙티브 공간 등을 구현했다.
가상의 돈암서원에 입장하게 되면 프롤로그를 포함한 총 5개의 전시영상을 만나게 된다. 1부 <세계의 유산, 은둔의 이름을 알리다>에서는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과정을 살펴보고, 2부 <공간으로 되돌아보는 돈암서원>에서는 개별 건축물들의 의미를 따라 서원의 기능과 역사를 둘러본다. 3부 <사계, 신독재, 동춘당, 그리고 우암>에서는 김장생 등의 제향 유학자 4인이 추구한 생의 가치를 그들의 호와 저서들을 통해 다가갈 수 있다. 마지막으로 4부 <서원이 품은 보물>은 서원 건립의 상징적 유물인 「돈원구적」과 서적들을 통해 세대를 이어 지성이 전승되는 서원의 가치를 돌아보도록 했다.
온라인 관람객들은 가상의 공간 ‘돈암서원’에 접속 후 입장하면 4개의 스토리로 재현한 영상들을 감상하며 가상 돈암서원에서 지인들과 함께 자유롭게 대화할 수 있다. 전시영상은 향후 연구원 유투브 채널 등에 공개되며, 10월 20일에는 개별 유물들을 만나볼 수 있는 온라인 전시관이 오픈되어, e-전시도록을 무료로 다운받을 수 있다.
한국유교문화진흥원 준비단은 돈암서원 디지털 가상전시를 기반으로 향후 범충청권 유교문화유산 디지털 공간재현을 확대하여 ‘디지털 충청유교 문화유산 클러스터’를 구성할 계획이다.
또 정부 디지털 뉴딜정책과 관련해 향후 가상 한국유교문화진흥원을 중심으로 VR 충청유교 문화유산을 연계해서 세계 어디서나 온택트(ontact) 기반 교육 및 체험이 가능한 플랫폼 구축을 제안할 예정이다.
박병희 원장은 “그 동안 두 차례의 천재지변을 극복하고 세계유산으로 남게 된 돈암서원을 주제로 한 이번 온라인 전시를 통해,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민들에게 충청유교 문화유산의 정신적 가치와 공동체 문화가 힘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한국 세계사 교과서나 역사 교과서로 볼 때, 한국은 한나라 때 동아시아(중국,한국,베트남,몽고)지역에서 세계종교로 성립된 유교국가로 이어짐. 한국 국사는 고려는 치국의 도 유교, 수신의 도 불교라고 가르침. 고려시대는 유교 최고대학 국자감을 중심으로, 고구려 태학, 백제 오경박사, 통일신라 국학의 유교교육을 계승하여 유교교육 실시함. 유교사관 삼국사기가 정사(正史)이던 나라 고려.한국사와 세계사의 연계가 옳음.한나라이후 세계종교로 동아시아의 정신적 지주로 자리잡아온 유교전통.
해방후 유교국 조선.대한제국 최고대학 지위는 성균관대로 계승,제사(석전)는 성균관으로 분리.최고제사장 지위는 황사손(이원)이 승계.한국의 Royal대는 성균관대. 세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