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지역 당협위원장 30% 가까이 자동 교체
나머지 현역위원장 5명 인적 쇄신 명분 약해
국민의힘 대전시당 각 당협위원장의 위원장직 사퇴가 잇따르고 있다. 전체의 28%가 이미 사퇴를 표명, 조직정비를 목표로 진행하는 중앙당 당무감사가 ‘찻잔 속 태풍’에 그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12일 지역정가에 따르면 국민의힘 유성을 지역 김소연 당협위원장은 최근 위원장직 자진 사퇴 의사를 밝혔다.
국민의힘 중앙당의 특정 인사가 언론 인터뷰에서 김 위원장의 ‘달빛 영창’ 현수막 문구를 당무 감사 대상으로 언급하자 사퇴 입장을 밝힌 것.
이에 앞서 국민의힘 서구갑 선거구 이영규 위원장 역시 추석 연휴 전 위원장직을 사퇴했다.
전체 7명의 원외위원장 중 30%를 육박하는 2명이 사퇴 의사를 밝히며, 국민의힘이 진행하는 대전지역 당무감사의 힘이 빠졌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현재 남아있는 당협위원장 대부분이 당무 감사의 화살에서 자유로울 수 밖에 없는 상황에 있다는 것이 이유다.
실제 국민의힘 대전지역 당협위원장 중 3명은 직전까지 원내에서 활동하는 등, 지역기반이 탄탄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 지난 총선 당시 코로나19 재난지원금 지급 등 어려운 상황에도 불구하고 초접전 끝에 고배를 마셨다는 점에서 조직 정비 대상으로 분류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이와 함께 원내 경험이 없는 2명 중 장동혁 유성갑 당협위원장은 시당을 총괄하는 역할을 맡아 당무감사의 영향권에서 벗어났다는 분석이다.
또 양홍규 서구을 당협위원장은 지난 총선 당시 대전지역 민주당 인사 중 최대 팬덤을 자랑하는 박범계 의원을 상대로 선전했다는 점에서, 인적 쇄신 대상과는 거리가 멀다는 것이 지역정가의 보편적 평가다.
이 때문에 지역에서는 국민의힘 당무감사가 대전 정가에 미치는 영향이 당초 예상만큼 크지 않을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이미 당협위원장이 직을 사퇴한 지역의 경우 당무감사에서 자유롭고, 나머지 원외 당협의 경우에도 인적 쇄신을 통한 득이 실보다 많지 않다는 것.
지역 정치권의 한 인사는 “국민의힘은 대전지역 일부 당협위원장의 사퇴로 인적 쇄신의 가능성을 충분히 얻게 됐다”고 피력, 더 이상의 당협위원장 교체가 진행되지 않는다는 쪽에 무게를 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