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선진당 임영호 (대전 동구)국회의원은 “김황식후보자의 2006년부터 2009년까지의 총수입과 총지출 내역을 분석한 결과, 지출이 수입보다 7300만원이 더 많고, 예금도 6700만원이 증가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총리실은 우선 “급여액은 과세 기준이 되는 기본급성격의 액수만 적시한 것으로 과세 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각종 수당이 제외됐다”고 설명했다.
임 의원에 따르면 총리실이 언급한 바와 같이 비과세 소득을 소득에 다시 포함하여 2006년~2009년까지 수입·지출 내역을 다시 계산해봤지만, 그래도 총 지출이 총 수입보다 6400만원 더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을 근거로 2006년~2009년까지의 총소득은 과세소득 3억 6000만원과 비과세소득 7500만원을 합해 4억 3500만원에 이른다. 이에 비해 지출은 근로소득세와 주민세, 종합부동산세, 지방세, 연금보험료, 보험료, 신용카드 사용액, 기부금 등을 합해 총 4억 9900만원에 이른다.
결국 수입보다 지출액이 6400만원 더 많은데, 이 돈은 어디서 융통한 것인가? 하늘에서라도 떨어진 것인가? 이해할 수 없다.
또한 총리실은 “예금 증가분은 2억 5000만원에 달하는 채권을 회수해 상당부분 은행에 저축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채권 2억 5천만원은 2000년 1억원, 2002년 7,500만원, 2005년 7,500만원씩 회수되어 2006년 이후에는 회수할 채권이 일절 없다. 따라서 2006년부터 2009년까지 예금 증가분 6700만원은 채권회수금으로 증가한 것이 아니다. 오히려 이 예금 증가액은 2007년 자녀 결혼식때 누님들한테 빌린 2억원중 자녀에게 준 1억원과 결혼식비용 등을 제하고 남은 금액을 저축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임 의원은 그래도 풀리지 않는 의문으로 자녀들 유학비용문제다. 후보자가 인사청문특위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장남 유학비용으로 2006년까지는 매년 2~3만달러, 2007년부터는 4만달러씩 송금했다고 밝혔다. 그렇다면 1달러당 환율을 1천원씩 적용하면 2006년 3천만원, 2007년~2009년 1억 2천만원으로 총 1억 5천만원의 유학비용이 소요된다. 이 비용은 도대체 어디서 마련한 것인가?
따라서 지출 초과액 6400만원과 아들 유학자금 1억 5천만원 총 2억 1400만원의 출처가 불분명하다. 별도의 현금을 소유하고 있었거나 누군가의 도움이 아니고서는 설명이 되지 않는다.
후보자의 재산축소신고나 허위신고, 혹은 증여세 탈루 등이 의심되는 바 다시 한번 후보자의 명확한 해명을 촉구했다.
한편, 후보자의 환전내역 및 유학비용 송금내역 등 증빙자료의 제출을 요구 했지만, 한국은행에서 「외국환거래법」과 「금융실명거래 및 비밀보장에 관한 법률」을 들어 제출을 거부하고 있다. 관계 당국의 이같은 행태에 강한 유감을 표하며, 후보자가 직접 송금한 은행에서 관련 자료를 확인하여 제출할 것을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