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강훈식 의원은 17일 서울 소재 전동킥보드 업체 ‘지바이크’를 찾아 현장 간담회를 진행했다.
기술 육성과 새 시장 창출을 위해 스타트업의 애로사항을 보고 듣고 규제 개선 사항을 점검하는 ‘강훈식의 시청(視聽)’프로젝트의 일환이다.
윤종수 지바이크 대표는 “지바이크는 올해 500만 라이드를 달성했고, 주행거리가 1000만km로 지구 220바퀴를 돈 셈”이라며 “탄소 배출을 1700t(중소형차 기준) 저감했고, 30년산 활엽수 17만 그루의 환경 효과를 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간담회에선 최근 전동킥보드 업체가 난립하며 다양한 문제도 제기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 됐다.
정구성 지바이크 이사는 “주정차 관련해서 일부업체의 부적절한 민원대응이나, 일부 개인 킥보드 이용자들의 무질서한 행태로 전체 공유 전동킥보드 업체가 공공의 적이 돼버렸다”고 토로했다.
최근 안전사고가 빈번한 현실에 대한 의견도 제시됐다. 윤종수 대표는 “개인이 킥보드를 개조해 속도를 높이는 문제도 있다”며 “안전인증 최고속도는 25km지만, 직접 타보니 너무 빠르게 느껴져 우리 제품은 제한속도를 20km까지 낮췄다”고 말했다.
각 지자체별로 주정차 가이드라인이 달라 문제가 된다는 지적도 나왔다. 보호용 헬멧 사용을 권장하기 위해 킥보드에 거치했지만, 고작 2주만에 모두 분실됐다고 했다. 지금 지바이크는 헬멧을 사용하면 할인을 해주거나 의무화하는 시스템을 고민 중이다.
강훈식 의원은 “최근 안전 등 문제로 산업 전반에 대한 인식이 악화되어 이제 막 열린 시장이 후퇴할까 걱정”이라면서 “스타트업이 기술개발뿐 아니라 시장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해 소위 ‘고군분투’하고 있는 것 같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어 강 의워는 “지자체와 협업으로 다양한 성공사례를 만들고 이를 정부에 가이드라인화 해달라고 요청하는 식으로 토양을 다져가야 할 것”을 제안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