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가 대전테크노파크(대전TP) 신임 원장에 대한 인사검증에 들어간 지 벌써 한 달 보름이 지났지만 여전히 감감무소식이다. <대전테크노파크 원장 임명 더 늦어질 수도>(본보 2020년 12월 11일자 보도)
지난해 11월 중순 내정된 임현문 원장 후보자는 공중에 붕 뜬 신세가 됐다.
임 후보자는 박영선 중기부 장관 면담을 거쳐야 최종 승인 여부가 결정된다.
5일 대전시에 따르면 중기부가 대전TP 원장 인선을 차일피일 미루고 있는 등 답보 상태에 빠졌다.
인선 마지막 절차인 중기부 장관 면담 날짜도 잡지 못한 채 해를 넘기면서 원장 후보를 내정한 대전TP와 대전시의 입장이 난처해졌다.
특히 올해부터 4차산업혁명특별시 완성 및 대덕특구를 활용한 혁신 성장을 위해 기존 정부부시장을 과학부시장으로 변경한 대전시는 더욱 그렇다. 대전TP는 AI, 바이오, 로봇 산업 등 대전 미래 먹거리를 기반으로 4차산업 혁명의 중심지 역할을 하는 주요 기관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대전시와 TP는 중기부 측으로부터 명확한 연기 이유를 듣지 못한 채, 기다리고 있는 중이란 말만 되풀이 하고 있다.
이날 시 관계자는 “중기부에 장관 면담 일정을 요청 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일정을 못 잡았다”라며 “시와 별개로 다른 채널을 통해 접촉을 시도하고 있고 면담 일정을 기다리고 있다”고 답답함을 호소했다.
TP 관계자 역시 “저희 입장에서 (중기부에) 어떠한 요청을 할 수 없는 상황으로 면담 일정 통보를 기다리고 있다”고 했다.
시청 안팎에서는 중기부 세종시 이전으로 촉발된 갈등과 관련한 여진이 이어진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표면적으로 대전TP 원장 임명 지연이 중기부 이전 문제와 무관하다고 주장하지만, 중기부가 원장 승인권을 이전에 반대했던 '대전시 길들이기' 수단으로 활용한다는 비판이 끊이지 않고 있다.
또 최근 타 지역 TP 원장(경북·대구)들도 이사회를 통과 후 중기부 최종 승인까지 4주가량이 소요됐다는 점에서 대전시는 ‘낙동강 오리알’이란 처량한 비판에 직면할 가능성도 있다.
<충청뉴스>는 이날 오전 임명 지연과 관련 중기부 입장을 듣기 위해 통화를 시도했으나 연락이 닿지 않았다.
앞서 중기부 관계자는 지난해 12월 초 본지 통화 당시 “국회 일정 등 주요 업무가 연말에 겹쳐 인선 작업이 조금 지연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