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 플라스틱 등 나노미터 크기 물질 포착하는 집게 개발
미세 플라스틱 등 나노미터 크기 물질 포착하는 집게 개발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1.03.30 12: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KIST 및 고려대 KU-KIST 융합대학원 서민아·유용상 박사 연구팀

미세 플라스틱이나 생체고분자 등 수십에서 수백 나노미터 크기 미세물질을 포착할 수 있는 집게 기술이 개발됐다. 이와 함께 실시간 정량/정성 분석 가능한 센서 기능을 동시에 지닌 나노-광 핀셋 기술도 함께 소개됐다.

이번 기술은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는 기계적 집게가 아닌 전기적 집게인 동시에 특정 파장 빛을 이용한 광 센서로 수중 미세물질이나 혈액, 체액 등 액체시료 속 바이오마커 등을 검출하는 데 활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중 금속 전극 구조를 이용한 초고감도 광-전기 융합 집게
이중 금속 전극 구조를 이용한 초고감도 광-전기 융합 집게

한국연구재단은 KIST 및 고려대 KU-KIST 융합대학원 서민아·유용상 박사 연구팀이 나노입자 포집과 테라헤르츠파 증폭 기술을 결합한 신개념 광-전기 집게를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테라헤르츠파(1초에 1조 번 진동하는 전자기파)는 파장이 매우 길고 광-에너지는 낮아 인체에 무해하며 비파괴검사 등에 이용된다.

다만 물에 대부분 흡수되는 테라헤르츠파의 성질과 미량의 물질에 낮은 감도를 가진 특성 때문에 수중 미세물질을 포착하고 분석하는 연구에는 전혀 활용되지 못했다.

이에 연구팀은 수중에서의 신호손실을 막는 한편 신호증폭을 통해 감도를 수 십~수 백 배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안했다.

핵심은 극미량의 나노입자를 포집하는 전기집게 기술과 메타 표면으로 인해 증폭된 테라헤르츠파 변화를 이용한 고민감도 광센서를 하나로 통합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 물에 의한 테라헤르츠파의 흡수를 회피하고자 물을 통과하지 않는 반사형 센서 시스템을 갖췄다.

또 나노미터 크기의 미세구조를 가지는 메타물질 센서로 입자를 능동적으로 포집하면서 동시에 모니터링하도록 했다.

그 결과 40μl(마이크로리터) 정도에 존재하는 1p.p.m.(피피엠, 100만분의 1) 정도의 극미량 미세입자를 검출할 수 있는 감도를 확보했다.

연구팀은 통상 혈액이나 타액 같은 액체상태 시료에 존재하는 p.p.b. (피피비, 10억분의 1) 수준의 극미량 바이오마커 추적과 분석에도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