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광역시(시장 염홍철)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충청권 조성을 위한 실효성 있는 종합대책마련에 나섰다.

이날 염 시장은 인사말에서 “그동안 한파와의 전쟁, 구제역과의 전쟁을 치렀는데 이제는 과학벨트 문제로 충청권이 또 다른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며 “과학벨트 입지는 3개 시도가 협력해 그 당위성을 중앙정부에 강력히 전달하고 과학계의 의견을 적극 활용해 질서 있게 추진하자” 고 말했다.
양승찬 과학기술특화산업추진본부장은 과학벨트 대응방안과 관련된 추진경과 보고에서 “지난 대선 당시 한나라당 공약집에 과학벨트 충청권 조성이 분명히 명시 되어 있고, 이미 대통령도 8차례 이상 충청권 입지를 약속했다”고 밝혔다.
이어 “1단계로 대통령의 과학벨트 발언에 대한 청와대 항의방문 등 지역민의 분노감을 강력하게 표출하고, 2단계로는 객관적인 과학계의 충청권 입지 당위성 등 논리개발과 여론형성을 통해 공감대를 확산시키며, 3단계로는 지난 40여년간 조성되어온 대한민국 첨단과학연구단지인 대덕을 비롯한 세종시와 오송.오창 연계활용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박월훈 도시주택국장은 “지난 2005년 12월 참여정부가 내놓은 제4차 국토종합개발계획에 이미 대덕 혁신클러스터 조성 및 충청권 광역개발 등 대전충청권을 과학기술벨트로 육성하겠다는 계획이 담겨 있었다”고 전제하고 “국토계획 전문가와 과학기술계 전문가들의 견해를 적극 활용해 나가자”고 제안했다.
장시성 복지여성국장은 향후 대응방안과 관련 “3개시도지사가 대통령과의 면담을 비롯해 총리실과 교과부 등을 항의.방문하고 지역민 연대서명, 과학기술위원회 참여 등을 통한 충청권의 입장을 적극적으로 대변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조욱형 기획관리실장은 “대통령의 공약이행을 강력히 촉구하는 한편 중앙정부의 과학벨트 조성에 대한 진위를 객관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고, 황재하 공보관은 “국력낭비와 지역갈등을 초래하는 더 이상의 논란을 방지하고 과학벨트는 충청권에 조성될 수 밖에 없다는 논리 확산을 위해 온라인 홍보강화 등 적극적인 여론형성을 주도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밖에 설 연휴를 통해 나타난 지역민심을 시민사회단체와 연합해 적극적으로 중앙에 알려나가고 충청권 대세론을 확산시켜나갈 우호세력을 형성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이와 관련해 염 시장은 “대통령의 과학벨트 관련 발언이 설 명절 충청민심을 뒤흔들었다”며 “과학벨트 충청권 조성 세부실천 사항에 대해서는 구체적 액션플랜을 수립할 것”을 긴급 주문했다.
한편, 시는 이날 제시된 의견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구체적인 액션플랜을 수립하고, 이와는 별도로 7일 오전 11시 지역시민사회단체 대표 및 과학벨트 충청권 조성 추진협의회 대전지역 위원들과 간담회를 갖고 실효성 있는 민․관 공조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