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과학벨트 충청권 입지 당위성 확산과 대통령의 공약이행 촉구를 위한 충청권 사수 대응전략 로드맵을 마련해 민관공조에 적극 나서며 범시민 공감대를 빠르게 확산시켜 나가고 있다.
시는 7일 오전 11시, 시청 대회의실에서 지역 국회의원을 비롯해 과학벨트충청권조성추진협의회 위원과 각계각층의 지역시민사회단체장 등 50여명을 초청해 과학벨트 사수 공조방안 협의를 위한 간담회를 가졌다.

또한 지난 2007년 대선후보시절을 포함해 그동안 수차례 대통령이 ‘충청권 과학벨트 조성’에 대해 직접 언급했던 내용이 담긴 동영상물을 상영해 지난 1일 과학벨트 충청권 공약 백지화성 발언에 대한 대국민약속 이행 촉구 등 강도 높은 비판과 함께 열띤 토론분위기가 이어졌다.

박병석 국회의원은 “과학벨트 입지 선정까지 앞으로 100일이 고비이며 3개시·도, 지역국회의원, 시민단체, 과학기술계의 역량을 결집한 초당적 협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상민 국회의원은 “공약에도 없고 법률적 근거도 없이 5천억원짜리 방사광 가속기를 포항에 건설키로 하는 등 과학벨트 포항 몰아주기가 진행되고 있다”며 “충청권 과학벨트 조성이 속빈강정이 되지 않도록 내용적인 면에서도 지역역량을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상태 대전시의회 의장도 “대통령의 말바꾸기는 신뢰의 문제”라며 “지역시민단체 그리고 3개시·도 의회와 연계해 궐기대회, 서명운동 전개 등 모든 수단과 방법을 총동원해 투쟁해 나가자”고 강조했다.
금홍섭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 사무처장은 “세종시 문제 이후 지역의 가장 큰 과제로서 정당, 시민단체 등 모두가 일치단결해 헤쳐나가야 한다”고 말했으며, 안종석 출연(연)연구발전협의회 고문은 “과학계에서는 과학벨트가 충청권으로 선정될 것을 믿고 충분한 과학적 입지타당성 논리를 개발해 나갈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강병주 한남대 교수는 “절차를 거쳐 과학벨트 입지가 선정되기 때문에 다양한 참고자료를 빠른 시일내에 상세하게 준비할 필요가 있다”며 구체적 논리개발을 주문 했으며, 이광진 대전경실련 사무처장도 “좀더 강력한 투쟁이 필요한 만큼 3개 시·도가 비상사태에 대한 공조추진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염 시장은 간담회 마무리 발언을 통해 “오늘 이 자리는 과학벨트에 대한 추진경과, 충청권 입지 당위성 및 효과 등을 시민들께 설명하고 향후 대응전략을 함께 논의하며 공조해 나가기 위한 뜻깊은 자리였다”면서 “앞으로 범시민 궐기대회, 과학기술계와 연계해 포럼 등 다양한 행사를 열어 입지 당위성을 널리 알리는 등 종합적 액션플랜을 마련, 차질 없이 실행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