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부작용을 치료하는 인체삽입용 소재 신기술을 개발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생체재료연구센터 정윤기 박사 연구팀이 차의과학대 한동근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체내 삽입형 의료소재 표면에 세포 주변을 구성하는 물질을 쌓은 소재를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해당 소재에 줄기세포 등 치료 기능 세포를 탑재할 수 있어 세포치료제를 원하는 부위에 전달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연구진은 소재 표면 및 생체물질과 강한 결합이 가능한 화합물과 단백질을 코팅하고 그 위에 세포를 배양했다. 배양된 세포는 세포 주변환경 구성물질인 세포외기질을 만들게 된다.
세포외기질은 세포와 친화력이 높아 체내의 어떤 환경에서도 세포의 부착과 생존을 가능하게 해 필요한 세포를 치료 부위에 전달할 수 있으며 의료소재와 신체조직간의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었다.
연구진은 막힌 혈관을 확장하는 시술에 활용하는 의료기기인 스텐트 표면에 개발한 소재를 적용했다.
스텐트는 물리적으로 혈관을 늘이기 때문에 시술부위 주변에 상처가 생겨 염증이나 혈전으로 인해 다시 혈관이 막혀버리는 부작용의 위험성을 갖고 있다.
개발한 소재를 통해 혈관을 재생할 수 있는 혈관전구세포를 함께 실어서 시술한 결과 혈관 확장 효능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손상된 혈관 내벽이 재생돼 부작용인 신생내막 형성률을 70% 이상 경감시킬 수 있었다.
정윤기 박사는 “이 기술은 스텐트와 같은 의료기기뿐만 아니라 장기간 이식이 필요한 이식용 임플란트와 더불어 미래기술로 주목하고 있는 체내삽입형 진단 및 치료 기기 분야에 범용적인 플랫폼 원천기술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