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의회는 21일, 박종선 의원 주관으로 ‘근대건조물의 효율적 보호 및 활용방안’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정책간담회에 앞서 박 의원은 “대흥동 뾰족집 철거 계기로 대전시 근대문화 유산 관리에 헛점 있었다고 보도되는 등 시민들로부터 매서운 질타가 있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지난해 행정사무감사에서 대전시의 전반적인 문화재 관리상 문제점을 지적하고 대책을 요구한바 있었다”며 “도시의 브랜드는 역사성이며 지속적인 관심과 보존에 투자가 이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종헌 배재대 건축학부 교수는 “한국의 근대건축은 단순한 물리적 구축물로 보다는 우리의 삶과 연관시켜 보존될때 문화재로서 지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며 “근대문화 유산 활용을 위해서는 정태적인 중심도시에서 동태적인 구심도시로 바뀌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정동 목원대 건축학부 교수는 “대전에서 사라진 근대건조물은 200건으로 현재 남아 있는 건물은 약 150건이 다”며 “근대건조물속에 산업유산도 포함해야 한다” 면서 “외국의 경우는 구청에서 근대건축물을 매입하여 활용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권선정 충남대 충청문화연구소 전임연구 교수는 “대전지역에 지정된 17개 등록문화재중 대전역 및 소제동 원도심지역 중심으로 10개가 있다”며 “도청을 제외한 9개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충분히 관리 보존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안여종 문화연대 문화유산위원은 “근대건조물에 대해 활용을 하지 못해 안타깝다”며 “타 시․도의 경우 등록문화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므로 대전시도 예산이 허락된다면 매입하여 활용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한필원 한남대 건축학부 교수는 “도시의 중추적인 축을 이루고 있으며 핵심이 되는 것은 ‘근대건조물’ 이다”며 “근대건조물을 매입해야 한다” 고 주장했다.
이날 참석한 토론자들은 “근대건축의 보존은 우리의 삶을 풍요롭게 만들 수 있는 기반이며, 앞으로 새로운 삶을 충족시킬 수 있는 수준 높은 창조적 행위다”고 공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