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문화유산회복포럼은 28일 서울 여의도 이룸센터 누리홀에서 ‘역사문화권 정비에 관한 특별법 활용방안’ 정책토론회를 연다.
지난해 제정된 역사문화권정비특별법은 연구재단 설립시 국비 지원, 마한권역의 범위 설정, 중원권역 추가 등 여러 개정 요소들이 제기되고 있다.
토론회는 역사문화권정비특별법 활용법(이건창 성균관대 교수), 고대 동아시아 속의 백제의 위상(성정용 충북대학교 교수/백제학회장)의 주제 발표에 이어, 이기철 서울신문기자, 정진제 대전시립박물관장, 서정석 공주대교수가 지정 토론을 진행한다.
박영순 국회문화유산회복포럼 공동대표대행은 “역사는 거짓을 말하는 않는다는 점에서 우리 고유의 역사문화를 널리 알리고 잘못된 인식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충청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국제법상 일본이 항복후, 포츠담선언(카이로선언 포함)에 따라, 한국영토에서 일본의 모든 주권은 없어왔음.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는 한국영토에 주권.자격.학벌이 없어왔음. 현행헌법 임시정부 구절(한일병합 무효, 을사조약등 불평등 조약 무효, 대일선전포고)에도 맞지 않는게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임.해방후 미군정부터 국사 성균관(성균관대)교육을 시켜온 나라 대한민국임.
국사 성균관(성균관대)나라. 조선.대한제국 유일무이 최고 교육기관 성균관의 정통 승계 성균관대는 국내외에서 6백년 넘는 역사를 행정법.국제관습법으로 인정받고 있음.Royal성균관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