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S, 양자역학의 난제 해결 ‘한 걸음 더’
IBS, 양자역학의 난제 해결 ‘한 걸음 더’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1.08.19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IBS 분자 분광학 및 동력학 연구단, ‘파동-입자 상보성 원리’ 검증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 분자 분광학 및 동력학 연구단의 조민행 연구단장(고려대 화학과 교수)과 윤태현 연구위원(고려대 물리학과 교수) 연구팀은 양자 물체의 파동-입자 정량적 상보성에 대한 새로운 모델을 제안하고, 자체 개발한 장비를 통해 이를 실험적으로 검증했다.

ENBS(얽힌 비선형 광자쌍 광원) 복합시스템의 모습
ENBS(얽힌 비선형 광자쌍 광원) 복합시스템의 모습

상보성 원리와 파동-입자 이중성을 엄밀히 검증하려면 파동성과 입자성을 각각 측정할 수 있는 양자역학적 복합시스템이 필요하다. 즉, 양자 입자를 만들어내는 장치, 양자 입자 위치 또는 경로의 탐지 장치, 중첩 상태의 양자 입자가 만들어내는 간섭현상의 측정 장치 등이 갖춰져야 한다. 지금까지 여러 복합시스템이 이론적으로 제안되고, 일부는 실험까지 진행됐지만, 양자 물체의 상보성과 입자-파동 이중성을 완벽하게 검증할 수 있는 장치는 없었다.

연구진은 새로운 실험 시스템인 ‘얽힌 비선형 광자쌍 광원(ENBS)’을 자체 개발하여 이 한계를 돌파했다. ENBS 시스템은 기존 측정 시스템들과 달리 실험적으로 얽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양자 물체의 파동성과 입자성을 상보적 관계의 틀 안에서 실험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ENBS(얽힌 비선형 광자쌍 광원) 모델
본 연구에서 제안한 ENBS(얽힌 비선형 광자쌍 광원) 모델

연구진은 이 실험을 통해 양자 물체의 입자성과 파동성의 상호 연관은 물론, 둘 사이에 정량적 관계가 존재함을 증명했다. 이 결과는 보어의 ‘양자 입자의 파동성과 입자성은 서로 배타적이어서, 하나의 성질만 하나의 측정 장치로 알 수 있다’는 이론과 달리, 얽힘 정도를 조절해 배타적 성질 모두를 하나의 장치로 측정 가능함을 의미한다. 상보성의 원리 최초 제안 이후 약 100년 만에 파동-입자 상보성의 정량적 관계를 측정해냈다는 학술적 의미가 크다.

(좌) 조민행 IBS 분자 분광학 및 동력학 연구단장(교신저자), (우)윤태형 IBS 분자 분광학 및 동력학 연구단 연구위원(교신저자)
(좌) 조민행 IBS 분자 분광학 및 동력학 연구단장(교신저자), (우)윤태형 IBS 분자 분광학 및 동력학 연구단 연구위원(교신저자)

윤태현 연구위원은 “이 연구에서 제안 및 검증한 양자 복합시스템 실험장치를 이용한다면, 아직까지도 미지의 영역으로 남아있는 여러 양자역학적 난제를 해결할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조민행 단장은 “1965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한 리차드 파인만은 ‘양자역학의 본질은 이중틈(double-slit) 실험의 이해에 있다’는 말을 남겼다”며 “앞으로 IBS 분자 분광학 및 동력학 연구단은 새롭게 제안한 양자 얽힘 장치를 이용하여 양자역학의 신비로운 특성들을 좀 더 깊게 연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8월 19일 03시(한국시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 IF 14.136) 온라인 판에 실렸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