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공감’첫 일정,한국생명공학연구원 오창분원의 국가영장류센터 방문
보이지 않는 현장에서 고생하는 전임상 지원 연구원 격려
임혜숙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 장관은 현장 소통 강화를 위한 ‘현장 공감’의 첫 번째 행보로 19일 한국생명공학연구원(원장 김장성, 이하 ‘생명연’) 오창분원의 국가영장류센터를 방문하여, 코로나19 백신 및 치료제 전임상 지원 관련 연구자 및 유관기관, 기업 등과 함께하는 현장 간담회를 가졌다.
‘현장 공감’은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의 취임 초 연구현장과의 소통을 강화하겠다는 약속에 따라 과학기술·ICT 분야 연구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직접 청취하고 정책에 반영해나가기 위해 추진되었으며,
- ‘현장 공감’ 첫번째 일정인 이번 현장방문에서는 코로나19 치료제·백신 전임상시험* 지원 기관과 연구자를 격려하고, 애로사항 등을 논의하였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코로나19 치료제·백신 전임상시험 지원 현황과 성과를 공유하였으며,
지난 5일 대통령 주재 k-글로벌 백신 허브화 추진위원회에서 보고된 「k-글로벌 백신 허브화 비전 및 전략」에 따라 추진 중인 국가 전임상지원센터 구축 등 치료제·백신 개발 전임상시험 지원 확대 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누었다.
전임상시험은 치료제·백신 임상시험 진입 전 영장류 실험, 독성평가 등을 통해 후보물질의 안전성과 효과성을 검증하는 필수 절차로,
과기정통부는 전임상시험 등 지원을 위해 생명(연), 화학(연), 안전성(연), 파스퇴르(연), KMPC 등 감염병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코로나19 대응 연구개발지원협의체(이하 지원협의체)’를 2020년 4월부터 구성하여 운영 중이다.
< 코로나19 대응 연구개발지원협의체 체계도>
지원협의체의 기업 대상 R&D 지원 성과는 현재까지 약효분석·동물모델 지원·독성평가 등 2,119건(314社)에 이르며,
국내 코로나19 백신 임상시험 단계 진입에 성공한 7개 기업 중 6개 기업에 전임상시험을 지원하였다.
특히, 이번에 방문한 생명연 국가영장류센터는 중국, 네덜란드, 미국에 이어 세계 네 번째로 영장류 감염모델 개발에 성공하여, SK바이오사이언스 등 8개 기업의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11건)을 지원한 바 있다.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은 “전임상시험은 백신과 치료제 개발을 위한 첫 번째 관문으로, 기업과 연구자에 대한 전임상시험 지원의 폭을 넓혀주는 것이 중요하다”라며,
“어려운 상황에서도 다양한 기업이 임상에 진입할 수 있도록 지원 중인 연구자들의 노고에 감사를 드리고, 앞으로도 힘써주실 것을 당부한다”고 말했다.
또한 “과기정통부는 신·변종 감염병에 대비하기 위해 전임상시험을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플랫폼을 구축하는 등 기업의 전임상시험 지원을 확대해나가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