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뉴스 김정식 기자] 허베이사회적협동조합 운영방식이 또다시 도마 위에 올라 태안군민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삼성지역발전기금 태안배분금찾기대책위와 태안군 피해민 단체 등 300여 명은 23일 오전 11시부터 정부세종청사 해양수산부 정문 앞에서 허베이사회적협동조합 설립인가 취소 촉구 해양수산부 규탄대회를 열었다.
지난 2007년 12월 태안 해역에 ‘허베이 스피릿호 기름유출사건’ 발생 후 삼성 중공업이 사회적 합의 기금으로 2.900억 원을 마련해 전국의 11개 피해지역 지자체들로 배분이 이루어졌다.
이때 최대 피해지역인 태안군을 중심으로 서산시, 당진시, 서천군 유류피해 대책 위원회는 허베이사회적협동조합을 설립해 2018년 12월경 2.024여억 원을 사회복지 공동 모금회를 통해 지정·기탁받았다.
하지만 허베이사회적협동조합이 삼성 발전기금을 법령에 따른 정관, 제 규정이나 배분계약서에서 정한 용도 이 외로 회계규정을 위반해 지출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날 규탄대회에서 “조합원 14.000여 명에 자산규모가 2.000억이 넘는 사회적 협동조합에서 법과 정관을 무시하고 일부 임원들이 만들어 공증받은 협약서에 의해 일부 임직원들의 입맛대로 운영되는 황당한 일이 계속 되고 있다”라며 “이를 감독할 해양수산부는 오히려 해수부관피아인 퇴직 고위 공무원을 취업시키는 등 봐주기로 일관하고 있다”라고 주장했다.
이어 “해양수산부는 삼성지역발전기금 배분계획과 설립허가를 무시하고 일부 임직원들의 마음대로 운영되고 있는 허베이사회적협동조합에 대한 특별감사를 즉시 실시, 설립인가를 취소하고 삼성지역발전기금 태안배분금을 태안군민을 위해 투명하게 돌려줘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허베이사회적협동조합 관계자는 “아직 사무차장 자리가 공석이라 공식적인 답변은 어렵다”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