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연구재단, 고성능 전기화학적 암모니아 합성 위한 촉매 소재 소개
한국연구재단, 고성능 전기화학적 암모니아 합성 위한 촉매 소재 소개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2.02.17 12: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그린 수소와 그린 암모니아 생산 공정 모식도
그린 수소와 그린 암모니아 생산 공정 모식도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국내 연구진이 전기화학적 암모니아 합성을 위한 고성능 ‘헤테로더블원자’(2개 단일금속원자 구성 촉매) 촉매 소재를 개발했다.

한국연구재단은 인하대 함형철 교수와 고려대 이관영 교수, 한국에너지공대 한종희 교수 연구팀이 슈퍼컴퓨터를 이용한 양자역학 계산 기법을 활용해 촉매 활성 변화 원인을 밝혀 설계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신촉매 물질을 발견했다고 17일 밝혔다.

전기화학적 질소 환원을 통한 암모니아의 상온·상압 합성 공정은 촉매의 높은 과전압과 낮은 선택도 때문에 개발이 매우 어려웠다.

성공적인 촉매 개발에는 촉매 반응과 활성에 대한 원인 규명이 필수적인데, 실험적 접근은 직접 분석의 어려움 때문에 많은 시행착오가 동반되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이에 연구팀은 슈퍼컴퓨터를 이용한 양자역학 계산을 통해 촉매 활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원자 수준의 촉매, 특히 서로 다른 2개의 원자가 쌍으로 존재하는 헤테로더블원자를 설계했다.

실험적으로 분석이 힘든 헤테로더블원자 촉매 작용의 정량적인 이해를 통해, 암모니아 합성 촉매 활성에 미치는 원리를 규명하고 촉매의 성능을 예측할 수 있는 간단한 디스크립터 (descriptor)를 발견하여 촉매 탐색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가이드라인에 따라 금속 원자들의 조성 조합을 통해 촉매 후보 물질을 빠르게 탐색, 루세늄(Ru) 단원자 촉매에 비해 36% 향상된 활성을 보이며 암모니아 합성 효율이 증가된 루세늄-철(Ru-Fe), 루세늄-오스뮴(Ru-Os) 촉매를 도출했다.

함형철 교수는 “양자역학 계산이 미지의 암모니아 합성 반응에 대한 원리 규명과 헤테로더블원자 촉매 개발 시간 단축에 중요한 역할을 한 것”이라며 “후속 연구를 통해 상용화가 가능한 수준까지 촉매의 성능을 끌어올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