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질연, 최첨단 물리탐사연구선 탐해3호 건조 ’순항 중‘
지질연, 최첨단 물리탐사연구선 탐해3호 건조 ’순항 중‘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2.09.22 10: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탐해3호 용골거치식. (왼쪽부터)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탐사선건조사업단 김진호 단장, 해저지질에너지연구본부 김병엽 본부장, 포항지질자원실증연구센터 강일보 센터장, 한국선급 이영호 부산지부장, 한진중공업 손광목 상무, 조명관 상무.
탐해3호 용골거치식. (왼쪽부터)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탐사선건조사업단 김진호 단장, 해저지질에너지연구본부 김병엽 본부장, 포항지질자원실증연구센터 강일보 센터장, 한국선급 이영호 부산지부장, 한진중공업 손광목 상무, 조명관 상무.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국내 유일 최첨단 물리탐사연구선 탐해3호의 건조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은 지난 21일 탐해3호 용골거치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용골거치(Keel laying)는 배의 선수에서 선미까지의 바닥을 받치는 중심 뼈대인 용골(龍骨, Keel)을 놓는 과정으로 미리 만든 선체블럭을 도크에 앉히는 공정 중 하나다.

용골거치식은 목재선박을 건조하던 시대에 선박의 바닥 중앙에서 선체를 버티는 골조 역할을 하는 용골에 특정인의 이름 첫 글자를 새겨 넣어 인증하는 의식에서 유래한 것으로 선박의 본격적인 건조가 시작됨을 알리는 의미를 갖고 있다.

기존 탐해2호(1996년, 2085t)의 노후화로 대체하는 국내 최초의 고성능 3D/4D 다목적 물리탐사연구선인 탐해3호는 6926톤급에 내빙등급 적용으로 국내 대륙붕은 물론 극지 및 대양까지 탐사가 가능하다.

특히 기존 탐해2호보다 4배 넓은 면적을 깊고 정밀하게 탐사할 수 있는 6km 길이의 탄성파 수신 스트리머 8조를 탑재한다. Eh 시간에 따른 해저 지층의 변화를 탐지하고 예측하는 4D 모니터링 기술이 적용돼 해저자원 탐사의 효율성 및 정밀성이 크게 향상된다.

탐해3호는 지난 2021년 1월에 계약체결 후 실시설계를 거쳐 건조사 ㈜한진중공업의 영도조선소에서 지난해 12월 강재절단식을 갖고 현재 순조롭게 건조작업이 진행 중이다.

2023년 4월에 바다에 처음 띄우는 진수식이 계획돼 있으며, 2024년 건조완료 및 시운전을 거쳐 공식 취항할 예정이다.

최첨단 기술이 적용되는 탐해3호는 본 임무인 해저자원 개발을 넘어 △국내 해저단층의 조사·분석을 통한 해저지진의 대비 △원전 등 위험시설 입지 결정 △CO2지중저장 모니터링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될 계획이다.

또 미국 지질조사소(USGS)와 협력해 태평양 섭입대의 지질재해 공동 연구 활용과 국제해저지각시추사업(IODP)을 위한 울릉분지 탐사, 극지연구소와 북극해 공동탐사를 통한 북극 해저자원 개발과 북극 항로 개척 지원 등도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이평구 원장은 ”우주자원과 더불어 해저자원은 지구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안전하게 개발되고 보존돼야 한다“며 ”탐해3호를 통해 전 세계 해저자원개발 분야의 미지의 영역에 도전하고 우리나라 해저자원탐사의 우수성을 자랑할 수 있도록 모든 연구자가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