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뉴스 이성현 기자]대전시와 교육청이 유아교육비 지원 사업 관련 견해차가 좁혀지지 않는 가운데 지역 교육계가 이장우 대전시장에게 소통과 협력의 시정을 촉구했다.
26일 대전교원단체총연합과 대전교사노동조합, 대전교육청공무원노동조합, 전교조 대전지부 등 4개 단체는 26일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말했다. 4개 단체가 공동기자회견을 가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들은 “교육청과 시청이 그동안 교육행정협의회를 통해 학생과 대전시민의 애로사항 해결을 위해 소통과 상생의 마음으로 노력해왔으나 대전시는 민선 8기 시작과 동시에 유아교육비 지원 사업과 관련 일방적이고 독선적인 시정을 밀어붙이고 있다”고 비판했다.
특히 “시장이 공개적인 기자간담회에서 교육청이 유아교육비를 분담하지 않으면 비법정전입금을 줄이겠다며 사실상 협박에 가까운 언사를 내뱉었다”며 “요즘 가장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는 갑질이 아닐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공립유치원 학부모는 지원 대상에서 빼버림으로써 심각한 차별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며 “자기 공약을 남한테 이행하라고 강요하는 갑질 공약을 차라리 파기하는 게 낫다”고 비꼬았다.
이들에 따르면 시와 교육청은 최근 교육행정협의회 안건으로 유아교육비 지원비 분담 방안을 논의했다. 내년 3월부터 12월까지 사립유치원에 다니는 만 3~5세 1만4800여명에 월 12만원을 지원하는 것이 주 내용인데 시는 교육청에게 60%를 부담할 것을 제안했다.
해당 사업에는 매년 178억원이 투입될 것으로 예상된다. 시가 제안한 대로라면 시는 40%인 71억원, 시교육청은 60%인 107억원을 부담해야 한다.
반면 시교육청은 만 5세에 먼저 지원하되 시가 60%를 부담해야 한다고 제안한 상태다.
이들은 이외에도 ▲ 교육청의 초중고 무상급식비 단가 인상 제안 수용 ▲대전체육고 복합체육관 건립 ▲관내 여학생 위생용품 무상 지원 등을 요구했다.
한편 이들은 기자회견을 마친 뒤 대전시 민원실에 시장 면담 요구서를 접수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