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오는 17일 오후 2시 2023학년도 학위수여식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학위수여식은 코로나19 이후 처음으로 졸업생 전체가 참여하는 행사로 진행될 예정이다.
이번 행사에선 박사 691명, 석사 1464명, 학사 715명 등 총 2870명이 학위를 받는다. KAIST는 1971년 설립 이래 박사 1만5772명을 포함해 석사 3만8360명, 학사 2만867명 등 총 7만4999명의 졸업생을 배출하게 됐다.
이날 학위수여식에선 류가빈(23·기계공학과) 씨가 학사과정 수석졸업자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을 받는다. 이사장상은 이승주(24·전산학부) 씨, 총장상은 태국 유학생인 잔타칸 네생팁(23·화학과) 씨가 받는다. 동문회장상과 발전재단 이사장상은 각각 황재용(25·물리학과) 씨와 이준모(23·산업및시스템공학과) 씨가 수상한다.
2004년도에 학부에 입학한 뒤 19년 만에 박사학위를 받는 차유진(38·바이오및뇌공학과) 씨는 졸업생 대표연설을 맡게 됐다.
차 씨는 원자력및양자공학과를 졸업한 뒤 의학전문대학원에 진학해 방사선종양학과 전문의가 됐지만 골육종을 앓던 어린 환자의 죽음을 계기로 다시 과학자의 길을 걷기 위해 모교로 돌아왔다.
현재 KAIST 의과학연구센터 연구 조교수로 재직 중인 차 씨는 의료인이 임상 현장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것을 돕기 위해 2017년 ‘의사를 위한 실전 인공지능’을 저술했으며 이 책은 '2018 세종도서' 학술부문 우수도서로 선정되기도 했다.
또 싱어송라이터 박새별(38·문화기술대학원) 씨가 박사학위를 받는다.
2014년 박사과정에 입학한 박 씨는 학업과 함께 본업인 음악 활동은 물론 대중 강연과 대학 강의를 병행하고 결혼과 출산이라는 개인적인 중대사도 치렀다. 2019년 학위 이수 요건을 갖췄지만, 연구의 완성도를 위해 졸업을 늦춘 끝에 9년 만의 결실을 얻게 됐다.
최근 화제가 된 챗GPT처럼 인공지능 분야에서는 컴퓨터가 인간의 언어를 이해하고 분석하게 만드는 ’자연어 처리‘가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박 씨는 이 기술을 활용해 언어 대신 음악을 인공지능으로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했다.
소리의 형태인 음악을 자연어 처리 방식으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음표와 박자 등을 마치 언어처럼 문장이나 단어의 형태로 구현하는 작업이 필요한데, 이 과정에서 멜투워드(Mel2Word)라는 알고리즘을 직접 고안해 연구에 적용했다.
또 멜로디를 텍스트로 바꿔 분석하면 단순하게 음정을 표현하는 소릿값이 아니라 단어 혹은 문장으로서 의미와 맥락을 가진 수치들로 표현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박새별 씨는 현재 연세대 언더우드 국제학부에서 문화기술(Culture Technology) 과목과 음악 정보 검색(Music Information Retrieval) 과목을 강의하고 있다.
이뿐 아니라 사회문제 해결을 꿈꾸는 청년 창업가들도 학사모를 쓴다. 경영공학부 사회적기업가 MBA 과정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하는 문준석(40), 서인아(31) 씨다.
문준석 씨는 입학 전 아프리카 난민의 자립을 돕는 카페를 운영했다. 이후 사업의 규모를 확대하고 복지와 인권의 사각지대에 놓인 난민을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돕는 사회적기업 경영을 배우기 위해 KAIST에 진학했다.
문 씨는 학위 과정 중 커피를 바꾸는 것만으로도 적극적인 탄소 저감을 이뤄낼 수 있다는 아이디어로 사업 분야를 전환하고 ㈜이퀄테이블을 창업했다.
함께 졸업하는 서인아 씨는 환경오염을 줄이는 방식의 패션 사업을 하기 위해 ㈜컨셔스웨어를 창업했다. 사명감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그와 부합하는 경영 전문성이 필요하다는 생각에 사회적기업가 MBA 과정을 시작했다.
한편 이날 학위수여식에서는 존 섹스턴(John Edward Sexton) 뉴욕대 명예총장에게 명예이학박사 학위를 수여한다. KAIST와 뉴욕대학이 조인트 캠퍼스를 추진하는 등 양교 협력의 기틀을 마련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이광형 총장은 학위수여식사를 통해 ”목표를 향하여 미래를 그려보고 노력해간다면, 미래는 내 손으로 직접 만드는 작품일 수 있다”며 “꿈의 여정을 멈추지 말고 실패를 만나더라도 포기하지 않을 것”을 당부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