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산서 유해 40여 구 발굴...‘집단학살’ 현장 드러나
아산서 유해 40여 구 발굴...‘집단학살’ 현장 드러나
  • 박동혁 기자
  • 승인 2023.03.28 15: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아산 부역 혐의 희생사건’ 유해발굴 현장 공개
20~40대 남성 유해, 방공호 따라 빽빽히

[충청뉴스 박동혁 기자] 충남 아산의 부역 혐의 희생사건 유해발굴 현장에서 73년 전 한국전쟁 당시 집단학살 정황을 생생히 보여주는 유해(유골)와 유품이 다수 발굴됐다.

좁은 방공호에 무릎이 굽혀진 채 매장된 유해/진실화해위 제공

제2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이하 진실화해위)는 28일 충남 아산시 배방읍 공수리 성재산 방공호에서 ‘아산 부역 혐의 희생사건’ 유해 발굴지를 공개했다. 이번 발굴은 한국전쟁 당시 부역 혐의 희생사건에 대한 첫 국가 차원의 유해발굴이며, 지난 7일부터 진행해왔다.

진실화해위에 따르면 이번 유해발굴지는 1950년 10월 4일 온양경찰서 업무가 정상화되면서 좌익부역 혐의 관련자와 그 가족들을 매일 밤 1~2회에 걸쳐 40~50명씩 트럭에 실어 성재산 일대와 온양천변에서 학살 후, 그 시신을 유기한 곳이다.

이번 발굴에서 온전한 형태의 최소 40구의 유해가 확인됐다. 이들은 대부분 20대 후반~40대 초반 남성으로, 아산 부역 혐의자로 추정되고 있다.

유해는 폭 3m, 길이 14m의 방공호를 따라 빽빽한 상태로 드러나 방공호에서 집단학살 당한 것으로 보이며, 대부분 무릎이 구부러지고 앉은 자세인 ‘L자’ 형태를 보여 학살당한 후 바로 매장된 것으로 추정된다.

삐삐선이 감긴 채 학살된 것으로 추정되는 유해들/진실화해위 제공

또한 현장에서는 머리 위에 파랗게 녹슨 탄피가 얹혀 있거나, 손목에는 군용전화선인 삐삐선이 감긴 채 발견되기도 했다.

그리고 학살 도구로 사용한 것으로 보이는 A1 소총 탄피 57개와 소총탄두 3개, 카빈 탄피 15개, 일제 강점기 일본군이 사용한 소총인 99식 소총 탄피 등이 다량 발굴됐다. 유품으로는 단추 다수와 벨트 9개, 신발 39개, 삐삐선 등이 다량 발견됐다.

진실화해위 관계자는 “이번에 발굴된 유해들은 세척 등을 통해 4월 중순까지 수습 작업 후 인근 염치읍 백암리에서 유해발굴을 계속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