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뉴스 권상재 기자] 충남도가 음식물쓰레기를 섭취해 몸집을 고단백으로 키워 고품질 동물용 사료 등으로 가공·판매되고 있는 아메리카동애등에 유충을 대량 사육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다.
16일 도 농업기술원 산업곤충연구소에 따르면, 동애등에는 알과 유충, 번데기, 성충으로 변하는 완전변태 파리목 곤충이다.
애벌레는 잡식성으로 유기물질에 서식하며, 성충은 먹이를 먹은 후 역류시키지 않아 병을 옮기지 않고, 빛이 부족한 실내로 들어오지 않기 때문에 해충으로 분류되지 않는다.
동애등에 애벌레는 특히 강력한 소화력을 바탕으로 음식물쓰레기나 가축분뇨 등을 섭취·분해해 탁월한 환경정화 효과를 보이고 있다.
동애등에 애벌레가 번데기로 변하기 전 15일 동안 섭취·분해하는 음식물쓰레기 등 유기성 폐기물 먹이원은 2∼3g이고, 1000개의 알을 낳는다.
음식물쓰레기 7㎏에 동애등에 애벌레 5000마리를 투입하면, 3∼5일 만에 음식물쓰레기 부피는 58%, 무게는 30%가량 감소한다.
동애등에 애벌레가 분해하는 음식물쓰레기는 비료 원료로도 활용 가능하다.
국내 동애등에 애벌레 사육 농가는 223호며 연간 생산액은 전국 109억 원이지만, 충남은 40호로 전국의 18%인 것에 비해 연간 생산액은 3억 1000만 원으로 2.8%에 불과한 상황이다.
이처럼 도내 동애등에 사육이 제한적인 이유는 음식물쓰레기로 인한 악취 민원 발생으로 대량 생산이 어렵기 때문이다.
이 같은 문제 해결을 위해 산업곤충연구소는 지난해 ▲농업가공부산물 먹이원 탐색 ▲조성비 선정 및 유충 생육 조사 ▲먹이원에 따른 암모니아 발생 저감 효과 및 유충의 일반 성분 균일성 조사 등을 실시했고, 올해에는 ▲지난해 선발한 먹이와 수분조절제 적정 배합비 조성 ▲선발 수분조절제 첨가 먹이원 급여 유충 생육 조사 ▲선발 먹이원 적정 밀도 조사 등을 실시하였다.
한국인 산업곤충연구소 연구사는 “동애등에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와 고품질 동물 사료 및 퇴비 원료 생산 등 ‘1석 3조’의 효과가 있는 익충”이라며 “소고기 1㎏을 얻는 과정에서 25.6㎏의 온실가스가 배출되지만, 같은 무게의 동애등에 단백질 생산에는 온실가스 발생량이 0.15㎏에 불과, 기후위기 시대에도 적합하다”고 설명했다.
한 연구사는 이어 “내년 대량 사육 환경 개선 연구로 최적의 사육 기술을 정립해 도내 농가에 보급, 동애등에 산업화 규모를 확장할 수있도록 하겠다”라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