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등 커지며 “기존대로 가자”는 수싸움 결과
특혜‧권한 4년 내내 집중.. 비판도 커져
[충청뉴스 조홍기 기자] 충남 시군의회 후반기 의장이 윤곽을 드러내고 있는 가운데, 유독 다른 때보다 연임 사례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2일 현재 취재를 종합해 보면 계룡, 서천, 예산, 금산 4곳에서 연임이 나왔다. 특히 서천군의회와 금산군의회는 전반기 의장-부의장이 모두 후반기에도 연임하는 진기록을 보유하게 됐다. 좀처럼 연임을 허용하지 않는 의장 자리를 놓고 관례가 깨지는 모습.
전‧후반기 의장 연임 사례는 충남 뿐 아니라 전국적으로 나타난다. 광역 급인 부산시의회, 대구시의회를 비롯해 상주시의회, 동두천시의회 등 개원 이래 첫 연임 의장이 속속 나오고 있다.
이같은 현상에 다양한 원인이 존재하지만 가장 큰 이유는 의원들의 감투 욕심이 도를 넘어가면서 결국 “기존대로 가자”는 수싸움의 결과로 볼 수 있다.
다수당, 정치적 유불리, 합종연횡 등 다양한 셈법이 존재하는 의장 투표에서 기존의 평화와 질서를 유지하자는 논리인데 의장이 가진 특혜와 권한이 4년 내내 집중된다는 비판적인 시각도 흘러나온다.
많게는 수천만 원의 업무추진비와 차량 및 비서진이 제공되고 정치적 체급을 높일 수 있는 유리한 위치에 있다는 특권이 한 사람에게 집중된다면 전‧후반기를 나눈 취지와 맞지 않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전직 의원은 “나머지 의원들의 역량을 신뢰하지 못하는 아쉬움이 크다. 변화를 외면한 현실 안주의 모습으로 보여 부정적”이라고 평가했다.
육동일 충남대 명예교수는 “연임이 나쁘다고 딱 잘라서 말할 수는 없지만 내부 과정에서 상임위원장 자리를 놓고 거래를 하거나 다른 변수가 작용해서 편법적으로 연임하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고 강조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의장 선출에 대한 과정을 비판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육동일 교수는 “의장 선출 과정이 공약과 정책 경쟁이 아닌 사적인 관계에 의해 결정되다 보니 의원들끼리 감정이 쌓이는 부작용이 있다”라며, “이런 갈등이 후반기 내내 지속되고 의정활동의 걸림돌이 되면 민선8기 지방자치가 제대로 작동이 안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