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최민호 세종시장, 품격있는 서민
〔기고〕 최민호 세종시장, 품격있는 서민
  • 최형순 기자
  • 승인 2024.10.08 01:10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충청뉴스 최형순 기자] 집안에 돈이 많거나, 부모가 지위가 높거나 하는 소위 금수저의 자식이 저는 아니었습니다. 저는 그저 월급쟁이 가장의 지극히 평범한 가정에서 태어나 일류학교를 나오지도 않았습니다.

브리핑하는 최민호 세종시장
단식투쟁하는 최민호 세종시장

그저 평범하기만 한 보통의 아내를 만나 결혼식도 어디에나 있는 평범한 예식장에서, 신혼집도 돈이없어 축의금을 모아 준 돈으로 당시의 남의 집 귀퉁이에 단칸방을 달아낸 월세방에서 신방을 꾸미고 살았습니다.

흙수저라면 흙수저였겠지만, 그런 생각이나 의식을 가져 본 적도 없었고 그저 부모님을 기쁘게 하는 것이 최대의 효도요, 자식의 도리로만 알고 행복하게 살았습니다. 성적이 나빠 속이 쓰렸던 것은 부모님이 실망할까봐였지 다른 이유란 없었습니다.

저는 고관대작을 꿈 꾸지도, 돈 많은 부자를 원하지도, 명예를 탐하지도 않았습니다. 정치를 하리라고는 상상해 본 적도 없었습니다.

평범하고, 튀지도 못하고, 잘나지도 못한 저는, 부모님을 기쁘게 해드리기 위해서 고시공부를 하여 공무원이 되고 나서 나름대로의 생각을 가다듬기 시작했습니다.

공무원으로서의 삶의 의미와 정체성을 생각해 보았습니다.

첫째는 옳고 바른 공직자가 되어야 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좋은 것이 좋은 것이 아니고, 옳은 것이 좋은 것이다'라는 신념을 갖기로 했습니다.
정직, 정의, 정확한 공직자가 되기로 마음먹었습니다.

둘째는 나라를 위해 도움이 되는 일을 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예를 들어 100% 외화를 써 수입하는 기호품에 불과한 커피를, 공무원이 되고나서부터 마시지 않기로 결심하고 공직을 마치는 30여년간 마시지 않았습니다. 외화를 아껴 나라 경제를 돕자는 작은 마음 때문이었습니다.

셋째는 품격있는 사람이 되자는 결심을 했습니다.
공직자로서 언어에 있어서나 상대방을 대할 때 기품을 잃지 않고, 생각과 생활을 품격있게 하고, 비열하고 비겁한 사람들과 어울리지 않을 것을 결의했습니다.

책을 가까이 했고, 신의와 배려를 중히 여기기로 했습니다.
어렵고 가난하고 낮은 곳에 있는 사람들을 우선하는 공직관을 철학으로 삼아 소탈한 삶을 살기로 했습니다.

세월이 흘렀습니다. 세상이란 뜻대로 되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그것이 운명이라는 것인지, 어느 날 갑자기 정치에 뛰어들게 되었습니다.

정치에 뛰어든 동기는 ‘무엇이 되기 위한’ 것보다는 ‘무엇을 하기 위한’ 충동이었습니다.

행복도시 건설청장을 하면서 수용된 드넓은 토지를 보면서, 명품도시로서 국가가 추진하는 세계 최신의 도시 세종시를 내 손으로 만들고 싶은 충동에 가슴이 뛰었고, 그러기 위해서는 세종시장이라는 직책이 필요하다는 결론에 이르러, 학연도 혈연도 지연도 아무 것도 없는 세종시장 선거에 뛰어들었습니다.

결과는 참담했습니다.

그후 10년의 세월 동안 실패의 멍에를 안고 살았지만, 그러나 세종시장 이외에 어떤 공직 자리도 탐하지 않았고, 바라지도, 부탁하지도 않았습니다. 대학에서 후학을 가르칠 지언정 후배들이 일해야 할 자리를 선배가 차지하지 말아야 한다는 생각이 강했기 때문입니다.

선거라는, 그것도 ‘보수의 사지(死地)’라는 낙인이 찍혀 있는 가망없어 보이는 세종시장 선거에 뛰어들면서도, 저는 평생 공직자로 가졌던 세가지 결심을 무너뜨리지 않기로 굳게 마음먹었습니다.

이 결심은 아직도 흔들리지 않고 있습니다.

그런데,
가장 비정치적이고, 가장 순박하고, 가장 범생이로 살며 정치 자체에 대해 아무것도 몰랐던 제가, 어느날 아침에 눈을 떠보니,
전국에서 가장 정치적인 지역에서, 여소야대라는 가장 악조건의 정치환경에서, 가장 정치적인 이슈로 싸우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단식(斷⾷).

생각만 해도, 저하고는 거리가 먼, 저너머 별종의 정치세계의 인간들이 치열하게 싸우면서 하는 몹쓸 몸짓을 제가 하게 되었습니다.

저는 그만 그렇게 정치의 나락에 빠져 버리게 된 것일까요? 며칠을 고민하고 뒤척이며, 저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옳은 것을 지키며, 나라에 도움이 되는 일을 하고, 품격을 잃지 않고 비겁하지 않을 것.
그 가치관을 지키는 것, 그것의 최종 결론이 단식이라는 답이었습니다.

저는 변하지 않은 것입니다. 다시 돌아가 제가 동경했던 삶의 단어를 생각해 봅니다.

“품격있는 서민”

장자크 루소의 ‘자연으로 돌아가라’라는 말을 새기면서 ‘농부처럼 일하고 철학자처럼 사색하라’라는 말에 매료되어 제가 생각한 저의 자화상이었습니다.

세종특별자치시장 최민호는 ‘품격있는 서민’으로 살며, 철학자처럼 사색하고, 공직자로서의 초심을 잃지 않고 살고자 하는 것입니다.

정의와 정직과 정확을 위한 품격있고 비겁하지 않은 단식을 하면서 말입니다.

2024년 10월 6일
세종특별자치시장 최민호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영대 2024-10-15 12:05:44
미래 세대를 늘 생각하고 시정을 베푸시는 최민호 시장님의 큰 뜻을 적극 지지합니다.
지방 정치를 당리당략으로 이용하고 주민에 당파를 짓고, 선동하는 무리들과는 달리 미래를 바로 보고 진심어린 마음으로 시정을 베푸는 분에게 태클을 거는 것은 아니라고 봅니다. 이런 분들은 우리나라 경부고속도로건설을 방해했던 1970년대 일부 정치인들과 무엇이 다른지 잘 모르겠습니다.
이번 경제학 부문 노벨상 수상한 분들이 우리 대한민국을 경제적으로 가장 성공한 나라라고 칭한 가장 중요한 근거가 박정희 시대의 정책들이었다고 보는데 저는 훌륭한 지도자의 진심어린 헌신적 생각과 지도력에서 나왔다고 봅니다.
이런 바른 지도자의 마음을 갖고 시정을 움직이는 최 시장님에게 전 세종 시민과 전 국민은 적극 지지를 보내리라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