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뉴스 권상재 기자] 김태흠 충남지사가 지천댐 관련 주민들의 우려에 “국가사업이기 때문에 국가에서 보상 문제 등 여러 가지 결정하겠지만 도는 다른 지역보다 많은 부분들을 요구하고, 도 차원에서 추가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태흠 지사는 18일 오전 도청 상황실에서 부여군 수몰지역 마을주민 대표 11명과 지천댐 관련 간담회를 갖고 “여러 걱정과 우려가 있음에도 큰 틀에서 찬성을 해주셔서 감사하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보금자리를 옮겨야 되기에 걱정스럽다”며 “국가사업이기에 보상문제는 국가에서 결정하겠지만 그 과정 속에서 도는 최근까지 댐을 건설하는 타 지역보다 더 많은 부분을 요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여러분이 원하는 모든 부분을 담아 정부에 요구하겠다. 도 차원에서도 추가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겠다”며 “댐이 갖고있는 기능(수자원 확보, 홍수 피해 등) 이외에 관광 등 미래먹거리를 만드는데 이 기회를 플러스 알파의 기회로 삼으려 한다”고 설명했다.
주민들이 우려하고 있는 건축비 상승으로 인한 이주비용 부족, 공시지가 수준 보상 예상 관련 김 지사는 “공시지가로 가는게 아니라 약 3~5배 수준으로 보상될 것”이라며 “국가 지원이 부족하면 도 차원에서 추가지원에 나설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구체적으로 리브투게더 등을 활용해 마을 주민들이 아름다운 마을에서 함께 살 수 있도록 하고, 농사짓는 분들은 농어촌공사에서 확보한 농지를 제공하는 등 방법을 찾을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김 지사는 최근 홍성군 산불 피해와 서천 특화시장 화재 피해 등 법적으로 보상이 어려운 부분을 도에서 지원한 점을 설명하며 “걱정하지 마시고 저를 믿어달라”며 “지속적인 소틍과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갈 것”을 약속했다.
마지막으로 김 지사는 김천 부항댐과 보현댐을 언급하며 “도에서 지원할 예정이다. 마을주민들께서 그 마을 지역 주민들의 이야기를 들어보고 직접 보셨으면 좋겠다” 고 전했다.
한편, 지천 수계 댐은 청양군 장평면과 부여군 은산면 일원에 저수 용량 5900만㎥ 규모로 건설할 계획이다. 이는 예산 예당호(4700만㎥)나 논산 탑정호(3100만㎥)보다 큰 용량으로 공급 가능한 용수는 하루 약 38만여 명이 사용할 수 있는 11만㎥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