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이란의 해상 봉쇄정책을 펴기로 하고 이란과의 정면 충돌을 피하기위해 걸프 해역 주변국가들에게 이란의 해상 봉쇄의 임무를 맡길 방침이다.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지는 20일(현지시간) "미국은 이란이 핵 보유국이 될 경우 중동 국가들위에 군림하게 될 것"이라면서 "이란이 핵과 미사일 기술을 갖지못하도록 걸프 해역을 봉쇄하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신문은 미국 관리들의 말을 인용해 "미국은 중동 국가들의 모든 물산물이 이동하는 걸프 해역의 화물을 감시하고 통제할 역할을 주변 국가들이 행사하기를 바라며 돕고자한다"고 전했다.
이들 국가들이 미국이 지금까지 시행해온 방식의 수출 통제 규제를 활용해 이란의 무역회사들의 움직임을 감시할 역량을 강화시키는 것이다.
이같은 걸프 해역 봉쇄정책은 걸프 해역 국가들이 석유 시설과 다른 기간산업을 보호한다는 명분하에 이란의 재래식 무기 구입과 대량살상무기(WMD) 관련 기술과 기자재 구입을 감시하는 것이다.
존 힐렌 미 국무부 정치.군사 문제 차관보는 지난주 토론회에서 "미국은 중동 지역의 안보 체계를 재구성하는 노력을 적극적으로 하고 있으며 그 노력은 이란에 대한 압력을 넣는 것이라"고 말했다.
로버트 조셉 미 국무부 군축.국제안보 차관보는 최근 "핵을 갖지않은 이란도 위협인데 이란이 핵무기를 보유한다면 그건 훨씬 더 위협적이 된다"면서 "걸프 해역의 많은 국가들도 이를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이 이란의 수출.입 통로인 걸프 해역을 봉쇄할려면 주변 국가인 사우디아라비아와 쿠웨이트, 아랍에미레이트 등 걸프 해역 국가들의 도움과 적극적인 역할을 받아야하지만 이들 국가 지도자들은 이란의 핵무기 개발 계획과 영향력 확대를 걱정하면서도 이란에 대해 도발적인 모습을 보일려고 하지않고 있다.
국무부의 한 고위 관계자는 "걸프 해역의 주변 국가들은 이란에 대해 적대적이거나 충돌을 하지않을려고 하고 있으며 일종의 두려움을 갖고 있다다"고 말했다.
또한 일부 전문가들은 이같은 미국의 걸프 해역 봉쇄정책에 대해 회의적이다.
레이 카케흐 외교문제 자문위원회의 이란 전문가는 "걸프 지역 국가들이 걸프 해역 봉쇄정책에 대해 미국에게는 긍정적인 신호를 보낸다고 할지라도 중동의 강대국으로 부상하고 있는 이란에 대해 적대적으로 나오지않을 것 같다"고 진단했다.
"지금 중동의 걸프 해역 국가들은 지난 80년대에 이란으로부터 정권 전복에 직면했던 때로 회귀할려고 하지않는 만큼 이란의 핵 문제에 개입하기를 꺼리고 있다"고 그는 덧붙였다.
워싱턴=CBS 김진오 특파원 kimoh@cb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