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연, 플라즈마 기반 이종구조 4인치 웨이퍼 개발
기계연, 플라즈마 기반 이종구조 4인치 웨이퍼 개발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4.11.07 11:01
  • 댓글 3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4인치 이종구조 플라즈마 합성장비
4인치 이종구조 플라즈마 합성장비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국내 연구진이 플라즈마 장비를 이용해 저전력 고성능 반도체를 제작할 수 있는 이종구조 4인치 제작 기술이 세계 최초로 개발됐다.

한국기계연구원은 자율제조연구소 반도체장비연구센터 김형우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성균관대와 플라즈마를 이용한 이종구조 4인치 반도체 웨이퍼 제작에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고 7일 밝혔다.

이 기술은 차세대 반도체 재료인 TMDc(2차원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에 적용, AI반도체로 사용 가능할 전망이다.

연구팀은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법(PECVD) 장비를 이용해 두 가지 형태의 이종구조 4인치 웨이퍼 구현에 성공했다. 먼저 이황화텅스텐(WS2)과 그래핀 간의 이종구조는 그래핀을 전사한 웨이퍼 위에 텅스텐(W) 금속층을 1나노미터(nm) 두께로 증착해 황화수소(H2S) 플라즈마 황화처리로 제작했다.

또 이황화몰리브덴(MoS2)의 서로 다른 2개 형상을 결합, ‘금속-반도체’의 이종구조로 박막형으로 제작하는 데도 성공했다.

특히 사방정계 구조인 금속성 구조(1T)는 준안정화 상태로, 육각형 벌집 구조인 반도체성 구조(2H)보다 상대적으로 불안정해 그동안 대면적 반도체 웨이퍼 제작이 어려웠다. 연구팀의 이번 기술 개발로 1T의 4인치 웨이퍼 제작 및 1T-2H 이종구조 구현에 성공하게 됐다.

기존 이종구조 제작 방법인 쌓는 형태의 ‘스태킹(stacking)’ 방식은 수백 마이크로미터(㎛)의 작은 크기로만 가능했으며 재현성도 떨어졌다. 연구팀은 이러한 한계를 플라즈마 합성 장비를 활용해 극복함으로써 4인치 대면적 이종구조 웨이퍼를 구현하는 성과를 냈다.

이 기술로 3D 통합구조를 구현하면 전력손실은 크게 감소하고 열 방출량은 적어져, 성능과 에너지 효율성이 높아진다. AI반도체의 필수적인 특징인 저전력, 고성능을 갖췄다.

김형우 선임연구원은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기존에 학술적으로만 접근했던 이종구조 연구에서 웨이퍼 크기와 재현성을 충족함으로써 실험적 규명이 가능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며 “반도체산업에 사용되는 PECVD를 이용하고, 대량생산 가능성이 높아 향후 AI반도체 성능 향상 및 산업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기계연에서 개발한 두 가지 형태의 이종구조 4인치 웨이퍼 제작 기술은 미국 및 국내 특허등록으로 원천기술도 확보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3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윤진한 2024-11-07 14:40:44
https://blog.naver.com/macmaca/223528462438

윤진한 2024-11-07 14:40:03
미군정의 적국,한국영토에 주권없는 일본 경성제대후신 서울대는, 한국영토에 주권.학벌없는 적산재산 국유화정도의 주권없는 국립대며, 패전국 일본의 성씨없는 점쇠(일본에서는 천황)가 한국에 불법.강제로 설치한 마당쇠.개똥이 불교 Monkey 학교에 불과함. 이 뒤로 우후죽순 대학이된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미만의 추종대학, 또는 그 밑에서 눌려살아야 했던 신생대학들은, 대중언론을 통하여 서울대를 극복할수 없게 형성되었고, 서울대 밑에서 성균관대를 오해하도록 조작되었기에, 국제법,헌법,한국사,세계사, 국가주권 기준에 의해, 인정해주기 어려움. 대중언론에서 주권없는 대학욕심보다, 조선성명 가진 한국인으로 살아가십시오. 아니면 패전국 노예 왜구 서울대를 폐지하고, 그 부하노비들을 다시 일제시대 초급대로 돌려 놓아야 함.

윤진한 2024-11-07 14:29:10
조선.대한제국 유일무이 최고 교육기관 성균관 (고구려 태학이후 유일무이 대학)의 복구는 미군정령으로, 일제강점기에 교육기능이 폐지된 공자묘경학원을 성균관으로 개칭하는 복구작업에 의해, 미군정당시의 성균관장이, 대학기구로 성균관대를 미군정에 등록하고, 성균관은 제사기구로 2원화하여, 현재에 이름. 미군정령은 향교재산으로 성균관대를 지원하는 법률을 제정하여, 해마다의 국사 성균관교육으로 성균관대의 법적 자격이 수호되고 있습니다.@국사 성균관(성균관대)나라. 조선.대한제국 유일무이 최고 교육기관 성균관의 정통승계로, 6백년 넘는 역사를 국내외에서 인정받고 있는 한국 최고(最古,最高)대학. Royal 성균관대. 세계사의 교황반영, 교황윤허 서강대는 국제관습법상 성대다음 Royal대 예우. 두 대학만 일류.명문대임